우리 국민의 코로나19 항체 양성률이 94.9%에 달했다.
항체양성률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S(spike) 항원, N(nucleoprotein)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를 보유했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S항체는 자연감염과 백신접종 모두에 반응하고, N항체는 자연감염에만 반응한다.
다만 이번 조사는 월별로 조사 지역이 다르고 규모도 적으며 대상자의 연령이 10세 이상으로 설정돼 국민 전체를 대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지난 1∼4월 전국 16개 시도에서 10세 이상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1천6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항체양성률 조사에서 전체 항체양성률이 94.9%로 조사됐다고 14일 밝혔다.
전체 기간 조사대상자 중 S항체양성자는 1천530명(94.9%), N항체양성자는 241명(15.0%)로 나타났다.
월별로 보면 S항체양성자는 1월 93.2%, 2월 95.8%, 3월 95.8%, 4월 94.7%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N항체양성자는 1월 0.6%, 2월 2.5%, 3월 16.5%, 4월 36.1%로 오미크론 유행과 함께 크게 늘었다.
4월 자연감염으로 인한 항체양성률인 36.1%는 같은 기간 10세 이상 전국민 코로나19 누적발생률인 29.5%보다 6.6%포인트나 높다.
방대본은 "지역사회내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자연감염에 의한 항체양성자 뿐 아니라 미진단 감염자도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95%에 가까운 높은 항체양성률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에는 여전히 보수적이다.
임숙영 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항체를 가지고 있어도 돌파감염이 되는 경우가 있고 완치여부, 완치 시기 등에 따라 감염 가능성이 다르다. 신규변이가 생기는 경우 돌파감염이 될 수 있다"며 "실내마스크에 대해서는 조금 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방대본은 더욱 정확한 자연감염자 규모 확인, 유행위험 요인 분석을 위해 내달부터 대규모 전국단위 항체양성률 조사를 시작한다.
전국 17개 시도의 5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분기별로 1만명씩 올해 안에 3만명을 목표로 진행된다.
이 조사에서는 항체 보유 여부 뿐 아니라 기저질환 여부, 접종력, 내원 여부 등까지 조사·분석한다.
이를 통해 대규모 항체양성률 조사는 감염병 유행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고 방역대응 수준 결정, 중환자 병상 수요 파악 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