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낙동강 녹조 '비상'…칠곡·강정고령보 올해 첫 조류경보

'관심' 단계 발령…안전한 식수 공급은 문제 없어
기나긴 가뭄에 수온 상승이 원인…상수도본부 취수 수위 낮추는 등 대응 나서

대구지방환경청이 16일 칠곡보 상류 22㎞ 지점과 강정고령보 상류 7㎞ 지점에 조류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한 가운데 한 관계자가 녹조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지방환경청이 16일 칠곡보 상류 22㎞ 지점과 강정고령보 상류 7㎞ 지점에 조류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한 가운데 한 관계자가 녹조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속되는 가뭄에 수온까지 오르면서 낙동강 칠곡보와 강정고령보 상류에 올해 첫 조류 경보가 내려지는 등 수질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대구환경청은 16일 오후 3시를 기해 낙동강 중·상류인 칠곡보 상류 22㎞ 지점과 강정고령보 상류 7㎞ 지점에 각각 조류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했다.

조류경보 관심단계는 최근 2주 동안 2차례 연속으로 1㎖당 유해 남조류 세포 수가 1천개 이상일 때 발령된다.

남조류 세포수가 1만 세포/㎖ 이상이면 '경계', 100만 세포/㎖ 이상일 경우에는 '조류대발생'으로 분류된다.

칠곡보 상류 22㎞ 지점은 지난 7일 유해남조류 세포수가 1천301세포/㎖에서 13일 1천409세포/㎖로 증가했다.

특히 강정고령보 상류 7㎞ 지점은 같은 기간 유해남조류 세포수가 1천710세포/㎖에서 2만8천762세포/㎖로 16배 이상 급증했다.

대구환경청은 이른 더위로 수온이 오른데 비해 강수량은 부족했던 게 원인으로 보고 오염원 점검과 취·정수장 정수처리 강화 등을 대구시에 요청했다.

이에 따라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는 낙동강 원수 취수를 조류가 많이 번식하는 표면보다 4.7~4.9m 아래에서 취수하고, 취수구 주변에 설치된 조류 차단막을 정비해 조류 유입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또한 원수와 정수에 대한 조류 수질검사를 주 1회에서 2, 3회로 강화해 수질을 검증할 방침이다.

김정섭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낙동강에 녹조가 발생하더라도 고도정수처리로 안전한 수돗물 생산 공급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안심하고 수돗물을 드셔도 된다"고말했따.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