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코스피 올해들어 18% 추락…금융위기 이후 최대 하락폭 기록하나

증시 시총, 연초 이후 374조원 날아가…지난 한주에만 152조원 증발

경기 침체 우려가 확산하면서 코스피가 장 한때 2,400선 밑까지 내려갔던 17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0.48포인트(0.43%) 내린 2,440.93에 장을 마쳤고,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46포인트(0.43%) 내린 798.69에 마감하며 하루 만에 800선을 다시 내줬다. 연합뉴스
경기 침체 우려가 확산하면서 코스피가 장 한때 2,400선 밑까지 내려갔던 17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0.48포인트(0.43%) 내린 2,440.93에 장을 마쳤고,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46포인트(0.43%) 내린 798.69에 마감하며 하루 만에 800선을 다시 내줬다. 연합뉴스

코스피가 연초 대비 20% 가까이 급락했다.

삼성전자는 '5만전자'로 추락했고, 네이버, 카카오 등 플랫폼주가 연초 대비 30% 이상 내려갔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7일 장중 2,400선까지 붕괴했던 코스피의 지난 한 주 동안 하락률은 -5.97%, 코스닥 하락률은 -8.18%에 달했다.

연초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발 긴축 우려로 급락장이 펼쳐진 데다 최근 미국의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금리 인상) 단행으로 인한 경기 침체 가능성까지 커지면서 국내 증시도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연초와 비교하면 코스피는 작년 연말 2,977.65에서 지난 17일 2,440.93으로 18.02% 떨어졌고, 코스닥은 1,033.98에서 798.69로 22.76% 떨어졌다.

이 추세가 연말까지 이어진다면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2008년(코스피 -40.73%, 코스닥 -52.85%) 이후 최대 연간 하락률을 기록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전문가들은 증시 과대 낙폭 인식에 따라 3분기에 잠깐의 기술적 반등이 있을 수 있겠지만, 4분기에는 경기침체 우려가 확대되면서 2차 하락추세가 전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연준의 급격한 금리인상에 따라 증권가와 학계에서는 내년 안에 경기침체가 닥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코스피는 2008년 40.73% 하락한 이후에는 2009년 49.65%, 2010년 21.88% 상승했다. 올해 하락 전에는 2020년에는 30.75%, 2021년에는 3.63%가 상승했다.

코스피와 코스닥시장 시가총액은 지난 17일 기준 각각 1천921조1천억원, 354조2천억원으로, 지난 한 주 만에 합산 시총 151조8천억원이 날아갔다.

연초 이후로는 국내 유가증권시장에서 282조2천억원이, 코스닥시장에서 92조1천억원이 감소해 합산 시총 374조3천억원이 증발했다.

특히 '5만전자'로 내려온 삼성전자 한 종목에서만 연내 시가총액이 110조원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17일 2020년 11월 이후 1년 7개월 만에 주가 6만원 선을 내줬다.

10위권 종목 중에서는 네이버(-37.25%), 카카오(-35.82%)의 하락 폭이 컸고, 삼성전자(-23.63%), LG에너지솔루션(-28.73%), SK하이닉스(-26.41%) 등 시총 1∼3위 기업의 하락률도 20%를 넘었다.

현대차(-18.66%), 삼성SDI(-15.11%), 기아(-7.42%), 삼성바이오로직스(-6.77%), LG화학(-6.02%) 등도 하락을 피하지 못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