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2년 동안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에서 상장주식을 70조원 가까이 순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떠나간 외국인이 국내 증시로 복귀하지 않으면 코스피의 상승 전환이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강도 높은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예고한 상황이어서 외국인 매도세는 더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코스피(유가증권시장)와 코스닥시장에서 2020년부터 지난 17일까지 2년 5개월여간 68조9천6억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2020년부터 '매도' 기조를 이어오면서 본격적으로 주식을 내다 팔았다.
연도별 외국인 순매도 규모를 보면 2020년 24조8천148억원에서 작년 25조7천948억원으로 늘었고 올해는 지난 17일까지 18조2천911억원에 이른다.
외국인의 현금화가 가능한 건 개인 투자자들이 주식을 사들였기 때문이다. 이 기간 개인은 168조원가량의 주식을 순매수했다.
이처럼 외국인의 차익실현 매물을 개인 투자자들이 받아주면서 지수는 작년에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코스피는 코로나19 여파로 2020년 3월 1,457.64까지 떨어졌다가 개인의 매수와 전 세계 경기 부양에 힘입어 오름세로 전환해 작년 7월 3,305.21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스닥지수도 2020년 3월 428.35에서 작년에 닷컴버블 이후 20년 만에 1,000선을 돌파했다.
그러나 증시가 올해 약세장에 진입하면서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에 외국인의 국내 증시 복귀는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이달에 이어 7월에도 금리를 0.75%포인트 올리게 되면 한미 간 금리 격차가 사실상 사라지면서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선 금리가 낮은 엔화나 달러를 국내에 들여와 금리차익을 내는 캐리트레이딩(금리 차를 이용한 투자)을 할 이유가 없어진다는 것이다. 미국에 대한 투자 수익률이 더 높아지기 때문이다.
외국인의 매수 복귀가 어려워지면 코스피의 상승 추세 전환을 기대하기가 쉽지 않다. 지난 17일 장중 2,400을 밑돈 코스피는 저점을 더 낮출 가능성이 있고 2,300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