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무서운 적중률' 빌게이츠, 이번 예언은? "방역 방치시 팬데믹 재발 가능성 50%"

"정교한 수치는 아니지만 내가 최선을 다해 내놓은 숫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창업자인 빌 게이츠. 연합뉴스
마이크로소프트(MS)의 창업자인 빌 게이츠.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을 예언했던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가 "이대로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20년 이내에 팬데믹이 다시 올 위험은 약 50%에 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50%'라는 수치에 대해서는 "정교하지는 않지만 내가 최선을 다해 내놓은 숫자"라고 강조했다.

게이츠는 27일 보도된 일본 아사히신문과의 인터뷰를 통해 "팬데믹을 화재에 비유하면 어느 나라에서도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며 "하지만 초기에 소화(消火) 활동을 하지 않으면 전 세계를 삼킬 가능성이 있다. 중국이나 아프리카에서 발생한 새로운 질병이라고 조용히 지켜볼 것이 아니라 발생 단계에서 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염병에 대응할 세계적 규모의 소방대인 '글로벌 전염병 대응·동원팀'(GERM)을 제안하면서 "연간 10억 달러(약 1조3천억원)보다 조금 많은 정도의 비용이 들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세계가 입은 14조 달러(약 1경8천조원)의 경제 손실을 막을 수 있다면 이것은 많은 금액이 아니다"고 말했다.

GERM은 그의 책 '넥스트 팬데믹을 대비하는 법'에서 언급된 바 있다. 이 책을 통해 게이츠는 "GERM은 세계를 아우르는 강력한 긴급상황실이 돼야 한다"며 "새로운 질병의 확산 저지가 최우선 과제가 돼야 하지만 위협이 없을 때라면 말라리아 등 기타 전염성 질병 퇴치를 도우면서 역량을 유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인터뷰에서 게이츠는 "가난한 나라의 감염증을 억제하면 부유한 나라에서도 혜택을 입을 수 있다"며 팬데믹의 재발을 막기 위한 주요 7개국(G7) 의장국의 역할에 기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러면서 "개발도상국에서 변이 바이러스를 찾기 위한 진단 키트가 필요했지만 부국이 독점했다"며 감염병 팬데믹을 억제하기 위해선 국가 간 상생이 요구되지만, 많은 자본을 가진 나라의 매점으로 결국 확산을 막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게이츠는 2015년 테드(TED) 강연에서 "몇십 년 내 1000만 명 이상을 사망하게 하는 것이 있다면 전쟁보다는 전염성 높은 바이러스일 가능성이 크다"고 예견했다. 이후 코로나19 사태를 내다본 선각자로 주목받으며 '코로나19 대유행을 만들어냈다', '백신을 이용해 국민에게 추적 장치를 심으려 한다' 등의 음모론에 시달리기도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