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다. 4일 공개된 리얼미터 조사에서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지르는 이른바 '데드 크로스'가 발생한 것이다. 리얼미터 조사에서 이는 윤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이다. 대선 때 압도적 지지를 보낸 대구·경북에서 긍정 평가가 6.9%포인트(p)나 빠져 광주·전라(6.6%p)보다 하락률이 더 큰 것은 윤 대통령에게 더욱 뼈아픈 대목이다. 같은 날 공개된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조사에서도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다.
이는 윤 대통령 지지율이 추세적 하락에 들어선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는다. 지난 1일 공개된 한국갤럽 조사는 이를 시사한다. '잘하고 있다'가 '잘못하고 있다'보다 높았지만 격차는 1%p에 그쳤다. '잘하고 있다'가 한 달 사이에 무려 10%p나 빠진 결과다. 대통령 임기 초 지지율이 고공 행진을 하는 전례로 봐도,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에 참석해 안보와 경제 분야에서 풍성한 외교적 성과를 거둔 것에 비춰 봐도 턱없이 박한 평가다.
그럼에도 윤 대통령의 인식은 현실과 괴리된 감이 없지 않다. 윤 대통령은 4일 출근길에서 "선거운동을 하면서도 지지율은 별로 유념하지 않았다. 별로 의미 없다"고 했다. 이래서는 안 된다. 지지율에 연연하면 포퓰리즘의 유혹에 빠지기 쉽다. 하지만 지지율 하락이 계속되면 국정 운영 동력의 감소를 피하기 어렵다. 정권의 힘이 가장 큰 때인 대통령 임기 초반부터 국정 운영 동력이 떨어진다면 공공·노동·교육·금융·서비스 등 5대 부문 구조개혁, 법치 확립, 국가 정상화 등 윤 대통령의 '그랜드 플랜' 실현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윤 대통령 지지도 하락은 능력 우선에 주안점을 둔 검찰 출신 중용 인사와 도덕성에 문제가 있는 인사를 장관 후보자로 지명한 부실 검증이 크게 작용했다. 국외 변수로 인한 것이어서 불가항력인 측면도 있지만 복합 경제위기 대응에 노력만큼 성과가 미흡한 것도 한 요인이다. 윤 대통령은 지지율 하락의 의미를 숙고하고 긴장감을 갖고 국정에 임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