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13일 경기도 판교 제2테크노벨리 기업지원허브에서 열린 제11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에서 "하이브리드전으로 변모해 가는 전쟁 양상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전력과 기술을 고도화하고, 사이버전 수행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축사를 통해 "지금 우리 생활 전반에 AI, 메타버스 같은 디지털 기술이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사이버 위협 또한 증가하고 있다"며 "사이버 공격은 민간과 공공을 구별하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발생하며, 기반시설부터 일반 국민에 이르기까지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민간과 공공 간 유기적인 정보 공유 분석체계를 구축해 사이버 위협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이버 안보 분야의 인재 양성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했다. 대학과 대학원의 전공과정을 확대하고, 최정예 개발 인력과 화이트 해커 등 사이버 안보 10만 인재를 양성하겠다고 공언했다.
윤 대통령은 "군 전문 분야 복무와 전역 후 취업, 창업을 연계하는 사이버 탈피오트 제도를 도입해 국가 사이버 안보에 기여하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겠다"며 "사이버 예비군도 창설해 국가 비상 상황에 대비한 민관의 사이버 합동 대응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
'탈피오트'는 우수한 인재가 군복무 기간 동안 과학기술 분야에서 연구할 수 있도록 한 이스라엘의 군복무 제도다.
이와 함께 사이버 안보 기술을 전략사업으로 육성하고, 사이버 범죄 공동 대응을 위한 국제 규범 체계인 부다페스트협약 가입도 신속히 추진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한편 판교 정보보호 클러스터는 실전형 사이버 훈련장을 비롯해 사이버 교육장, 정보호호 스타트업 육성 공간, 사물인터넷 테스트베드 등 인프라를 갖춘 공간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