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의 치료 후 재발 논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무증상 경증임에도 팍스로비드 복용 후 코로나19가 다시 재발하면서 일각에서는 중증 환자들에게 이같은 일이 일어날 경우 최악의 상황이 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국 주요 외신에 따르면 최근 바이든 대통령 주치의인 케빈 오코너 박사는 바이든 대통령의 건강 메모에서 "안티젠 검사는 여전히 양성이다"며 "어제 보고한 그의 양성 재발을 감안해 우리는 매일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7월 21일 코로나19에 확진된 뒤 격리 상태에서 항바이러스제 팍스로비드 치료를 받은 뒤 같은달 27일 음성 판정을 받고 공식활동을 재개했다. 하지만 사흘 뒤인 같은달 30일 검사에서 다시 양성 판정을 받으면서 재격리에 들어갔다. 의료진은 콧물과 마른기침, 피로를 호소했던 첫 감염 때와 달리 이번에는 아무런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팍스로비드는 경미하거나 중간 정도의 코로나19 증세를 가진 사람들이 위중증이나 사망으로 병세가 악화되는 것을 막는데 도움을 준다. 그런데 외신에 따르면 정해진 5일간의 팍스로비드 치료 후 2~8일만에 다시 병이 재발하는 사례가 종종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증세는 가볍고, 이미 겪었던 증세가 반복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일부는 증세가 없는데도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오기도 했다. 이처럼 팍스로비드로 치료받고 완치된 후 코로나19에 다시 양성 반응이 나오는 경우를 '팍스로비드 리바운드(재발)'라고 부른다.
미국의 건강관련 매체 헬스라인닷컴에 따르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2021년 12월에서 2022년 5월까지 캘리포니아에서 팍스로비드를 처방받은 사람들 5200명을 조사했더니 약을 다 복용한 후 5~15일 사이에 1% 미만의 사람들이 심각한 재발(응급실을 찾거나 병원 입원)을 겪었다. 이들의 절반은 65세 이상이었고 4분의 3이 기저질환이 있었다.
캘리포니아대 샌디에이고(UC샌디에이고) 의대 연구자들은 "팍스로비드 복용량이 바이러스의 복제를 완전히 막기에 충분한 양이 아니어서 재발이 된 것일 수 있다"며 "일부 사람은 약이 너무 일찍 분해되거나 바이러스 진압에 더 시간이 걸려, 이런 경우 투약기간을 더 늘려야 할지 모른다"고 설명했다.
국내 호흡기내과 전문의는 "인간이 아직 감기를 정복할 뚜렷한 치료제를 개발하지 못했듯이 코로나 역시 감기의 일종이고 팍스로비드는 당연 완벽한 치료제는 아닐 수 있다"며 "다만 팍스로비드 처방 이후 재발 증상이 계속된다면 해당 의약품이 정말 유효한 효과를 갖는지 연구하는 추가 임상이 다시 시작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