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우울증과 불안장애를 앓는 아동·청소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아동·청소년 우울증 및 불안장애 진료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불안장애로 진료를 받은 아동·청소년 수(2만3천590명)는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1만6천895명)과 비교해 39.6% 급증했다.
지난해 우울증으로 진료를 받은 아동·청소년 수는 3만9천868명으로, 2019년(3만3천536명)에 비해 18.9% 증가했다.
아동·청소년 우울증 환자를 연령대로 분석한 결과 진료량 증가율이 가장 두드러진 연령대는 초등학생이었다.
지난해 우울증 진료를 받은 초등학생(3천857명)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2천908명)에 비해 32.6% 증가했다.
이어 우울증 증가율이 높은 연령대는 ▷고등학생(21%) ▷중학생(10.5%) ▷영유아(3.1%) 순으로 나타났다.
불안장애 진료도 코로나19 이후 초등학생 환자 증가율이 가장 컸다.
지난해 초등학생 불안장애 환자는 4천136명으로, 2019년(2천820명)에 비해 46.7% 급증했다.
같은 기간 중학생 불안장애 환자는 3천811명에서 5천503명으로 44.4%, 고등학생 불안장애 환자는 9천481명에서 1만2천969명으로 36.8% 늘었다. 이 기간 영유아 불안장애 환자는 783명에서 982명으로 25.4% 증가했다.
신현영 의원은 "코로나19의 장기화가 아동·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꾸준히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코로나19가 불러온 사회적 단절이 소속감이 중요한 아동·청소년들에게 큰 영향을 미쳐 우울과 불안을 더 악화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앞으로 반복될 감염병 시대에서 아동·청소년들의 신체적 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까지 케어될 수 있도록, 연령대별 특성에 따른 예방 및 치료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