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괴산군 북동쪽 11km 지역에서 29일 올해 들어 규모가 가장 큰 4.1의 지진이 발생한 가운데 전문가들이 더 큰 여진 가능성을 경고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29일 조선닷컴과의 통화에서 "이번 지진은 지표에 관측되지 않은 단층에서 발생해 향후 어떤 여진이 발생할 지 단언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이날 오전 8시 27분 49초에 충북 괴산군 북동쪽 11㎞ 지역에서 규모 4.1 지진이 발생했다. 올해 한반도에서 관측된 가장 강한 지진이었다.
본진에 앞서 3차례 전진도 발생했다. 오전 8시 8분 14초에 규모 1.6, 오전 8시 9분 32초에는 규모 1.3 지진이 발생했다. 뒤이어 본진 발생 16초전인 오전 8시 27분 33초에 규모 3.5 지진이 발생했다. 홍 교수는 규모 3.5, 규모 4.1 지진이 연거푸 일어난 데 대해 "동일한 단층면이 순차적으로 쪼개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추후 더 큰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고 경고했다.
홍 교수는 "규모 4.1 지진 이후 쪼개진 단층의 끝단에 따라 여진의 크기가 결정될텐데, 지금 단층면의 크기를 모른다. 남은 끝단이 얼마나 되는지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발견되지 않은 단층면이 있거나 응력(암석이 외부 압력에 버티는 힘)이 누적된 단층면이 존재한다면 추가로 큰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 지진은 1978년 계기 관측 이래 역대 규모로는 38번째 강한 지진이다. 충북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는 가장 강한 규모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