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반도체 생산이 2008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반도체가 떠받치는 제조업 생산도 2분기 연속으로 감소하면서 향후 경제 성장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 반도체 생산지수(계절조정)는 320.6(2015년=100)으로 전분기보다 11.0% 감소했다.
감소 폭은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4분기(-23.6%) 이후 약 14년 만에 가장 컸다. 이로써 반도체 생산은 올해 2분기(-1.8%)부터 2개 분기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반도체 비중이 큰 제조업 생산도 덩달아 뒷걸음질치며 2분기(-1.7%), 3분기(-1.6%) 연속으로 줄었다.
반도체 재고도 점점 더 쌓여가는 모습이다. 3분기 기준 반도체 재고지수(계절조정)는 237.1(2015년=100)로 전 분기 대비 17.4% 급증했다.
월간 기준으로도 반도체 재고는 6월 6.1%(이하 전월 대비), 7월 12.4%, 8월 3.8%, 9월 0.6% 증가해 넉 달 연속 증가를 기록했다.
반도체 산업의 이런 부진은 생산은 물론, 투자와 수출까지 영향을 미치며 경제 전반에 타격을 줄 수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달 발간한 '10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반도체 부문이 대외 수요 둔화로 위축되고, 수출 역시 반도체를 중심으로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면서 경기 회복세가 제약됐다"고 분석했다.
기업 심리를 나타내는 제조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계절조정 기준) 역시 지난 9월 82에서 10월 73으로 급락했다.
더구나 반도체 산업을 짓누르는 대외 불확실성은 앞으로도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둔화로 정보기술(IT) 관련 수요가 줄면서 반도체 수요가 감소한 것이 반도체 수출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며 "수출 제조업의 경우 대외 하방 요인에 따른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