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한미, 한미일, 미일, 한일 정상회담이 잇따라 열린 가운데 가장 주목을 끈 정상회의는 단연 한미일 정상회의였다.
지난 6월 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가 개최된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한미일 정상회담을 한지 4개월 만에 열렸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캄보디아 프놈펜 한 호텔에서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일본 총리와 한미일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북핵문제, 경제안보, 지역 및 글로벌 현안 관련 한미일 3국 간 협력 방안에 관해 협의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지금의 한반도와 역내외 정세는 가장 강력한 수준의 한미일 공조를 요구한다"면서 한미일 정상회의가 5개월 만에 다시 개최된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평가했다.
한미일 정상들은 최근 북한이 한층 더 공세적인 도발을 감행하고 있는 데 대해 심각한 우려를 공유하고, 북한의 행위를 강력하게 규탄했다. 또한 북한의 도발에 맞서 한미일 간 긴밀한 공조가 이뤄지고 있음을 평가하고, 앞으로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이루기 위해 한미일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 정권이 민생을 뒤로한 채 핵과 미사일에 주력하고 있다"며 "한미일이 연대해 북한으로 하여금 이러한 무모한 도발은 절대 성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에 대한 미국의 철통같은 방위 및 확장억제 공약을 재확인했다.
한미일 정상은 북한 미사일의 탐지·평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자 한다는 의향을 표명하기도 했다.
첨단기술, 공급망, 에너지 등 경제안보 분야에서도 3국 간 협력을 강화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데 3국 정상은 의견을 모았다. 이들은 이를 위해 '한미일 경제안보대화'를 신설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한미일 정상은 이날 협의 결과를 반영한 한미일 정상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한미일 3국 정상 간 포괄적인 성격의 공동성명을 채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의 핵, 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확장억제를 강화하겠다는 미국의 공약 확인 ▷북한 미사일에 관한 3국 간 실시간 정보공유 의향 표명 ▷3국 간 경제안보대화체 신설 ▷경제적 강압에 대응하기 위한 3국 간 연대 등이 이번 공동성명에 주요 내용으로 담겼다.
또 ▷한국의 인태전략에 대한 미일 양국 정상의 환영 및 향후 이행 과정에서의 협력 확보 ▷공급망 교란, 기후변화, 디지털 경제 도래 등 복합적인 도전과제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3국 간 협력 강화 등도 포함됐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