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국제회의 참석 차 동남아시아를 순방 중인 가운데 13일 진행한 한미, 한일 정상회담 당시 '순방 기자단의 취재 불허' 논란이 인 것과 관련, 대통령실이 "오해"라는 입장을 내놨다.
대통령실 이재명 부대변인은 14일 서면 브리핑을 통해 "한미, 한일 정상회담 당시 순방 기자단의 취재를 불허했다는 식의 일부 언론 보도는 정상 외교 프로토콜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오해"라고 반박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1일부터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 일정을 마치고, 13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한미,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 한미일 정상회의를 각각 진행했다.
당시 출입기자단의 현장 풀취재가 이뤄진 한미일 정상회의와 달리 한미, 한일 정상회담은 대통령실 관계자가 회담 내용을 정리한 뒤 자료를 내는 방식으로 진행돼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두 회담이 대통령실 전속 취재로 진행된 것은 각각 양국 간 사전 협의에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부대변인은 "정상 외교는 의제나 방식, 장소 등 여러 여건을 고려해 완전 비공개부터 완전 공개(생중계)까지 다양한 형태로 진행된다"며 "분명한 점은 한 나라가 일방적으로 취재나 보도 방식을 정할 수 없다는 사실"이라고 전했다.
또 "한국 정부가 순방 기자단의 취재를 막으려 전속 취재를 고집했다면 어제 가장 중요한 외교 일정 중 하나였던 한미일 정상회의 모두발언에 대한 풀(POOL) 기자단 취재 및 생중계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느냐"며 반문했다.
한일 정상회담의 소요 시간을 수정 공지한 것에 대해서도 '양국 간 협의 과정의 결과'라고 해명했다. 대통령실은 전날 한일 정상회담 후 소요 시간을 애초 40분으로 공지했다가 다시 50분으로 정정한 뒤 최종 45분으로 재공지했다.
이 부대변인은 "이처럼 세세한 부분까지 양국이 협의해야 하는 상황에서 한 나라가 임의로 취재를 제한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 외교 행보를 폄훼하는 것은 국익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풀취재: 소수의 취재진이 기자단을 대표해 현장을 취재한 뒤 전달하는 방식. 주로 경호상의 이유로 대통령 공식일정 취재에 적용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