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평가하는 2022년 기후위기 적응대책 추진상황 점검에서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중 1위를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대구시는 2017년 이후 6년 연속 1위를 놓치지 않고 있다.
대구시는 올해 평가에서 건강, 재난·재해, 농업, 산림·생태계, 물관리 등 6개 분야 35개 과제평가에서 97.9점을 기록해 전국 평균 90.1점을 크게 웃돌았다.
대구시는 2012년부터 5년 단위로 '기후위기 적응대책'을 마련해 추진해 왔으며, 2017년부터는 매년 이행평가를 실시해 실효성을 높이고 있다.
이번에 특히 높은 평가를 받은 부문은 '안심하이소 앱'을 활용한 재난 대응 부문이다. 전력 공급이 어려운 재난·비상 시에도 대피소를 찾을 수 있으며, 흩어져 있는 재난 대응 정보를 한 곳에 모아 시민과 방재기관이 함께 공유할 수 있게 했다.
시민체감도가 높은 폭염 저감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대구시는 쿨링포그, 쿨루프, 그늘막쉼터, 클린로드 등 폭염저감시설 확충과 간선도로 살수, 가로수 띠녹지 만들기 등의 도시열섬 완화 활동, '찾아가는 숨 서비스' 등을 펼치고 있다. 취약계층에 대한 냉방용품 지원 및 보호체계 확보, 금호강 산격야영장 및 물놀이장 등 운영확대 정책도 체감효과를 더했다.
대구시는 '제3차(2022년~2026년) 기후위기 적응대책'의 실효성 강화를 위해 매년 이행상황을 체계적으로 진단·평가하고 성과 확산과 미비점을 개선·보완해 기후위기 대응 선도도시로서의 위상을 이어갈 방침이다.
성주현 대구시 기후대기과장은 "전통적인 폭염의 도시라는 불리한 여건이 오히려 기후위기에 선제 대응하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고 도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내실 있는 기후위기 적응대책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