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가 총파업을 두고 정부와 '강대 강' 대치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대구경북 곳곳이 물류난을 겪고 있다.
총파업 7일째인 30일 국토교통부와 화물연대는 두 번째 만남을 가졌으나 40분 만에 협상에 결렬됐다. 시멘트 운수종사자에 대한 업무개시명령 발동 후 하루 만에 공식 면담이 이뤄졌지만 서로 기존 입장만 반복한 채 소득 없이 끝났다.
정부는 안전운임제를 3년 연장하되 해당 품목은 확대할 수 없다는 입장. 화물연대는 업무개시명령 철회와 아울러 안전운임제를 영구화하고 해당 품목도 확대하라고 요구했다. 양 측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정부가 업무개시명령 확대를 검토하면서 사태가 쉽게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태다.
화물연대와 정부가 접점을 찾지 못한 가운데 물류난이 이어지면서 산업 현장은 '동맥 경화' 현상을 겪고 있다. 경북 산업의 중추이자 수출 물량이 집중돼 있는 구미와 포항에서도 이번 사태가 장기화하면 피해가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구미시에 따르면 지역 16개 업체에서 납품 지연 사태가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 대부분은 수출업체다. 구미시 관계자는 "지난 6월 총파업을 겪은 바 있어 이번에는 사전에 10일 정도의 재고는 챙긴 상태다. 하지만 파업이 더 길어지면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했다.
포항에선 29일부터 시멘트 물량을 입·출하할 때 화물연대 측과 물리적 충돌이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경찰이 입·출하 차량을 호위하고 있다. 하루 3, 4건 정도 경찰 호위 아래 입·출하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 각 기업은 파업이 장기화할 것에 대비, 자재 확보와 비조합원 운송차량 확보 등 자구책을 마련 중이다.

대구 상황도 녹록지 않다. 대구시에 따르면 건설 현장 곳곳에선 레미콘 타설 작업이 중단됐다. 시멘트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지역 레미콘 업체 20여 곳이 레미콘을 생산하기 어려워진 탓이다. 일부 업체가 이미 확보한 물량만 소규모로 출하하고 있을 뿐이다.
물류가 막히면서 섬유업계도 타격을 입고 있다. 대구 2곳, 경북 1곳 등 3개 섬유업체의 생산품 출고가 지연되고 있는 형편. 제품을 제때 출고하지 못해 계약 취소 수수료를 물어줘야 할 처지다.
대구경북섬유산업연합회 관계자는 "제품을 정상 출고하지 못하면 취소 수수료가 발생하고, 이 물량을 야적하면 보관료 문제도 생긴다. 부산에서 원료가 제때 들어오지 않으면 제품 생산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며 "이번 사태가 업체 신용도 저하로 이어질까 걱정스럽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