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렸지만, 이번 주 은행권 대출금리는 반대로 0.3%포인트(p) 안팎 떨어질 전망이다. 이는 최근 낮아진 채권 시장 금리와 예금 금리가 반영되기 때문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13일 기준 4대 시중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4.780∼7.410% 수준이나 이번 주에는 여기에서 0.1%p 이상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변동금리는 주로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따르는데, 다음주 초 발표될 예정인 작년 12월 기준 코픽스가 지난달 예금 금리 하락을 반영해 낮아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기준금리, 시장금리 상승으로 지난해 11월 5%를 넘어섰던 예금 금리는 최근 4%대로 내려왔고, 일부 은행 상품의 경우 3%대 후반까지 하락했다.
더불어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 13일 4.630∼6.960%)와 신용대출 금리(은행채 1년물 기준. 13일 5.492∼6.660%)도 0.3%p 안팎 인하될 전망이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주담대 혼합형과 신용대출의 지표 금리인 은행채 5년물과 1년물의 금리가 최근 1주일새 각 0.394%p(6일 4.527%→13일 3.918%), 0.186%p(4.104%→3.918%) 내렸다.
이달 초 8%대까지 금리를 올렸던 우리은행의 경우 이미 13일부터 급여이체·신용카드 관련 우대금리를 추가하고 가산금리를 조정해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금리를 낮췄고, NH농협은행도 20일부터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0.80%p 내릴 예정이다.
금리 인하의 명분은 취약계층 이자 부담 완화지만, "예대 금리 차이가 크다"는 여론·금융당국·정치권의 지적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번 주 초 관련 부서들이 모여 예금 금리 인상 관련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지금까지 기준금리 인상을 예금 금리에 반영해온 만큼 대표 상품 위주로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