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서울 지하철·버스요금 이르면 4월 중 300~400원 오른다

서울시 내달 1일 공청회 개최해 의견 수렴

서울시가 지하철·버스요금 관련 300원과 400원 두 가지 인상안을 제시해 공청회를 열고 전문가와 시의원, 시민 등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다음 달 1일 시민단체, 시의회, 학계 인사 등을 초빙한 공청회에서 요금 인상 필요성을 설명하고 조정안에 대한 참가자들의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조정안은 지난달 29일 발표한 300원 인상안과 이번에 새로 추가된 400원 인상안 두 가지를 제시한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2호선 신촌역에서 개찰구를 오가는 시민들 연합뉴스
서울시가 지하철·버스요금 관련 300원과 400원 두 가지 인상안을 제시해 공청회를 열고 전문가와 시의원, 시민 등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다음 달 1일 시민단체, 시의회, 학계 인사 등을 초빙한 공청회에서 요금 인상 필요성을 설명하고 조정안에 대한 참가자들의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조정안은 지난달 29일 발표한 300원 인상안과 이번에 새로 추가된 400원 인상안 두 가지를 제시한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2호선 신촌역에서 개찰구를 오가는 시민들 연합뉴스

이르면 4월 서울시 지하철과 버스요금이 300~400원 오를 전망이다. 서울시가 8년 만에 지하철과 버스 요금 인상을 두고 의견 수렴에 나선다.

서울시는 지하철·버스요금을 오는 4월 올리는 것을 목표로 다음달 중 공청회와 시의회 의견 청취, 물가대책심의위원회 심의 등 관련 절차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24일 밝혔다. 시는 300원과 400원 두 가지 인상안을 마련해 전문가와 시의원, 시민 등 다양한 공청회 참가자들의 의견을 듣기로 했다.

시는 공청회에 시민단체, 시의회, 학계 인사를 초빙해 대중교통 요금 인상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고 이에 대한 참가자의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조정안은 300원과 400원 인상 두 가지를 각각 제시한다.

현재 서울 대중교통 일반요금은 카드 기준으로 지하철이 1천250원, 시내버스는 1천200원이다. 300원씩 인상된다면 지하철은 1천550원, 시내버스는 1천500원이 된다. 현금 기준으로 지하철은 1천650원, 시내버스는 1천600원이다.

이후 요금이 7년여간 동결되면서 1인당 평균 운임에서 운송원가가 차지하는 요금 현실화율은 지하철이 60%, 버스가 65%까지 떨어졌다.

300원을 올린다면 요금 현실화율은 70∼75%가 될 전망이다. 400원 올리더라도 요금 현실화율은 80%를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대중교통 요금을 과거 수준으로 현실화하려면 버스는 500원, 지하철은 700원을 올려야 하지만, 시민의 경제적 부담을 고려해 300원과 400원 두 가지 인상안을 마련했다"며 "이 이상 올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