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 끼 2천300원' 대구시 노인 무료급식 단가 전국 꼴찌

2015년부터 9년째 동결
전남·제주는 5천500원...대구보다 2배 이상 높아
대구시 "수혜 대상 불분명해 지원 어려워"

지난해 12월 달서구 성당못 옆 사랑해밥차 무료급식소에 노인들이 줄지어 점심 배식을 기다리고 있다. 매일신문DB
지난해 12월 달서구 성당못 옆 사랑해밥차 무료급식소에 노인들이 줄지어 점심 배식을 기다리고 있다. 매일신문DB

고물가로 운영난에 빠진 무료급식소에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대구시의 노인 무료급식 지원 단가와 지원기관이 전국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9일 대구시에 따르면 올해 경로무료급식소 지원 단가는 1식당 2천300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최하위다. 가장 높은 지자체는 전남, 제주로 5천500원이었고 그 뒤는 충북 4천500원, 서울·대전·광주·경북 4천원 등이었다. 대구는 지난 2015년에 1천800원이던 단가를 2천300원으로 올린 뒤 9년째 동결했다.

시가 지원하는 노인 무료급식 지원기관도 6곳에 불과해 부산 76곳, 인천 42곳, 광주 29곳, 대전 27곳 등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이들이 노인 무료급식소 또는 경로식당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배정한 예산은 20억원부터 40억원까지 다양하지만 대구시의 올해 예산은 약 3억원에 그쳤다.

A기관 관계자는 "20년 넘게 무료급식소를 운영하며 늘 후원금 부족에 시달렸는데 최소한 얼마라도 지자체에서 지원해주는 것이 힘이 된다"면서도 "부족한 예산은 자체 인건비를 줄이거나 후원을 받기 위해 더 노력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B기관 관계자는 "여러 복지정책들이 있지만 사각지대에 놓인 분들이 많이 찾는 곳이 무료급식소"라며 "지자체에서 예산을 증액해 향후 공공복지의 일환으로 가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독거노인 등 저소득층 노인들의 식사를 지원하는 것이 정책의 주 목적이라며 지원확대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무료급식소는 노숙인 등이 뒤섞여 수혜대상이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타 지역은 무료급식소보다 수혜대상이 명확한 경로식당 등에 지원하기 때문에 대구보다 예산이 높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구시 어르신복지과 관계자는 "1999년 IMF 위기 극복을 위해 무료급식소 10개 기관에 지원한 것이 지금까지 이어져 6개 기관에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며 "노인 무료급식 단가가 타 지자체에 비해 낮다는 것을 알고 있고 현재 대책을 마련 중에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