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 삶의 만족도 OECD 38개국 중 36위…자살율·아동학대 피해 경험율 높았다

아동학대 관련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아동학대 관련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우리나라 삶의 만족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36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다 삶의 만족도 점수가 낮은 곳은 튀르키예와 콜롬비아 뿐으로, 저소득층 만족도와 자살률, 아동학대피해 경험률이 높았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 국민 삶의 질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지난 2019∼2021년 기준으로 집계한 주관적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9점으로 집계됐다.

해당 기간 동안 한국인이 느낀 삶의 만족도는 OECD 평균치(6.7점)는 물론, 인접한 일본(6.0점)보다도 낮았다.

2021년 연간 기준으로 집계한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3점으로 전년(6.0점)보다 소폭 올랐지만 저소득층 만족도가 크게 낮았다. 가구소득이 월 1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의 만족도는 5.5점에 그쳤고, 소득이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인 경우도 만족도 점수가 6.0점에 그쳐 전체 평균치를 밑돌았다.

인구 10만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를 뜻하는 자살률은 2021년 기준 26.0명으로 전년보다 0.3명 늘었다. 특히 70대(41.8명)부터는 인구 10만명당 자살자가 40명을 넘었고, 80세 이상에서는 61.3명으로 급격히 치솟았다.

아동학대피해 경험률은 2021년 아동인구 10만명 당 502.2건으로 2020년(401.6건)보다 약 100여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이후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인 이후 2021년엔 전년대비 가장 크게 증가했다. 통계청은 "아동학대 사례건수는 아동학대 피해 신고건수로 집계되고 있어 실제 학대건수가 증가한 것인지, 신고건수의 증가인지는 명확하지 않으며 최근 아동학대 사건의 언론보도 이후 사회적 관심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