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외국인 이민 정책 강화, 경북 내 '외국인공동체' 기틀 조성 나선다"

도청 조직에 외국인공동체과 신설, 외국인 공동체 TF단도 꾸려
모범적 이민정책으로 인구·경제동력 확충할 목표…지역특화형 비자 등 적극 활용

경북도는 지역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고 지역 대학교 유학생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자 지난 17일 경산시 대구대학교 실내체육관에서
경북도는 지역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고 지역 대학교 유학생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자 지난 17일 경산시 대구대학교 실내체육관에서 '지역특화형 비자 유학생 취업박람회'를 열었다. 경북도 제공

경상북도가 인구감소를 해결하고 유망 인재를 유입할 목표로 외국인 이민 정책을 강화한다.

19일 경북도는 올해부터 경북이 주도하는 지방형 외국인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경북은 지난 2015년 이후 국내에서 인구 감소세가 특히 두드러지는 지역이다. 청년인구 감소폭이 유독 큰 데다 수도권에 대한 유출도 극심해 대학 위기, 기업 인력난, 농촌 마비 등 경제활동 동력 상실이 가시화하고 있다.

반대로 경북의 외국인 주민은 급증세다. 전국 17개 시도 중 6번째로 많은 9만8천명의 외국인이 머문다. 10년 전 대비 74% 증가한 수치다. 외국인 근로자와 가족, 유학생이 대부분이다. 최근 K-문화가 유행하며 이민 수요가 증가한 것도 한몫했다.

경북도는 외국인 유입이 인구 문제 해결책의 하나라고 판단, 지난 1월 조직에 외국인공동체과를 신설하고 외국인 공동체 TF단을 구성했다. 외국인 지원 사업을 한 부서에서 체계적으로 도맡고, 시군 기초단체, 연구기관, 산업계, 대학이 협력해 지역 실정에 맞는 맞춤형 외국인 정책을 꾸린다.

경북도는 지역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고 지역 대학교 유학생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자 지난 17일 경산시 대구대학교 실내체육관에서
경북도는 지역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고 지역 대학교 유학생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자 지난 17일 경산시 대구대학교 실내체육관에서 '지역특화형 비자 유학생 취업박람회'를 열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는 지난해 9월 법무부 '지역특화형 비자 시범사업'(영주·영천·의성·고령·성주) 선정을 계기로 외국인 정책을 구체화에 나섰다. 외국인 숙련노동자나 유학생 우수 인재에게 영주권 바로 아래 단계 '거주비자'(F-2)를 도지사 추천으로 발급할 수 있는 사업이다.

최근에는 법무부와 '외국인정책 간담회'를 연 데 이어, '경상북도 외국인 주민 실태조사 및 기본계획' 연구 용역을 실시하는 등 외국인 유치‧정착‧사회통합 방안을 찾는 데 골몰하고 있다.

도는 향후 ▷경북 비자센터를 신설해 지역특화형 비자사업 운영·홍보 ▷지역 정착 외국인에게 기업 일자리 연계 및 업무역량 강화 프로그램 실시 ▷지역특화형 비자 외국인 정착주거지원(1인당 20만원씩 6개월 간 지원) ▷외국인 지역특화형 희망이음사업(외국인과 소통, 사례관리, 교육 등) ▷고려인 주민 정착특화 사업(맞춤형 한국어 교육, 방과후 돌봄교실, 문화·체육행사 등) 등을 실시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문화다양성 공감대를 키우고 인식개선과 편의 확충에 나설 방침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경북이 아시아의 작은 미국으로 불릴 수 있도록 외국인들에게 따뜻하고 차별 없이 대우하고, 그들의 꿈이 실현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모범적인 외국인 공동체 사회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