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첫 성경험 시기 20∼24세 가장 많아…남성 66%, 여성 57% 해당

한국보건의료연구원 국내 성 행태 설문조사…"HPV 백신 남자로 확대, 효과적이지 않아"
HPV 백신 남성 92.2%, 여성 69.3% '접종한 적 없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로고.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로고.

우리나라 성인은 20∼24세 때 처음으로 성관계를 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21일 질병관리청의 의뢰로 수행한 'HPV(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의 국가 예방접종 확대를 위한 비용-효과 분석' 정책 연구보고서(책임연구원 유수연 부연구위원)에서 이 같은 내용의 국내 성 행태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원은 자궁경부암 등을 일으키는 HPV의 일부를 예방하는 백신을 현행 여자 청소년뿐 아니라 남자 청소년에게 무료로 확대 접종하는 것이 경제성이 있는지 평가하고자 지난해 1월 6일~3월 18일 전국 성인(만 19~59세) 3천193명(남성 1천573명, 여성 1천6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첫 성경험 시기는 남성과 여성 모두 '20∼24세'가 각각 65.9%, 57.4%로 가장 많았고 ▷25∼29세(남성 19.8%, 여성 26.4%) ▷30∼34세(남성 4.1%, 여성 7.5%) 등의 순이었다.

19세 이하에 첫 성경험이 있었다고 답한 비율은 남성 8.9%, 여성 6.0%였다.

성관계 파트너 수는 남성과 여성 모두 1명인 경우가 각각 75.6%, 89.5%로 가장 많았다. 이어 ▷2명(남성 11.4%, 여성 5.4%) ▷3명(남성 5.7%, 여성 3.1%) 등이었다.

응답자 중 남성 35명(2.2%)과 여성 7명(0.4%)은 지난 1년 동안 성관계 파트너 수가 7명 이상이라고 답했다.

HPV 백신 접종 여부에 대해서는 '접종한 적 없다'가 남성 92.2%, 여성 69.3%로 가장 많았고, '접종 완료'는 남성 5.0%·여성 26.1%, '미완료'는 남성 2.9%·여성 4.6% 등이었다.

한편 연구팀은 HPV 백신 접종 지원 대상에 만 12세 이상 남자 청소년을 추가하고, 접종 백신을 기존 2가 및 4가 백신에서 9가 백신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세 가지 시나리오로 나눠 경제적 효과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모든 경우에서 비용에 비해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HPV 백신 예방접종을 남자 청소년으로 확대 시행하겠다고 한 현 정부의 공약 이행에 차질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2016년 6월부터 만 12세 여자 청소년에게 HPV 2가 및 4가 백신 접종을 무료로 지원했고, 지난해부터는 13∼17세 여성 청소년과 18∼26세 저소득층 여성으로 지원 대상을 확대했다.

여자는 HPV 백신 접종을 통해 자궁경부암 예방에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남자는 HPV 감염에 따른 생식기 사마귀 등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어 최근 남자 청소년에게도 무료로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