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전국에서 최초로 '인권보장 및 증진위원회'(이하 인권위)를 폐지한 대구에서 국가인권위원회 주최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2년 넘게 극심한 갈등을 겪고 있는 북구 대현동 이슬람사원 문제도 인권침해 사례로 언급됐다.
국가인권위는 24일 오후 4시 중구 대구인권사무소에서 '지역인권보장체계와 시민사회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현장에는 박진 국가인권위 사무총장 등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토론회는 서울과 충남의 인권조례 폐지 움직임 등 지역인권보장체계가 퇴행함에 따라 관련 대책을 모색하기 위해 열렸다. 인권위 관계자는 "이슬람사원 갈등 등 최근 대구에 인권을 둘러싼 이슈가 많아 이곳에서 토론회를 열게 됐다"고 밝혔다.
토론회는 2개의 발표와 5명의 지정토론,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지역인권보장체계와 시민사회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첫 발표를 한 신강협 '제주평화인권연구소왓' 소장은 지역이 겪고 있는 인권보장체제의 한계를 지적하며 "시민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시민인권기구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창호 빈곤과차별에저항하는인권운동연대 상임활동가는 '대구시 인권위원회의 대안 모델과 역할'이라는 주제로 두 번째 발표를 했다. 그는 "대구시 산하 인권위 폐지에 이어 시청 앞에서 시위도 맘대로 못하는 등 대구의 인권행정이 퇴행하고 있다"며 "시민의 인권보장을 위해서라도 독립적인 시민인권기구가 구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권행정의 퇴행으로 인한 시민의 인권침해 사례로 이슬람사원 갈등을 소개하기도 했다.
지정 토론자로는 김승무 인권실천시민행동 대표, 육주원 경북대 사회학과 교수, 이병구 대전인권비상행동 집행위원장, 장지혁 대구시민공익활동지원위원회 위원, 채민 전북평화와인권연대 상임활동가가 나섰다. 이들은 지역별로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인권기구의 현황에 대해 소개하며 지속 가능한 시민인권위원회가 되기 위해선 법과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국가인권위 관계자들은 이날 토론회에 앞서 오후 1시쯤 이슬람사원 공사 현장을 방문해 무슬림 유학생들과 40분간 간담회를 가지기도 했다. 지난 23일에는 콜린 크룩스 주한 영국대사가 이곳을 방문하는 등 대구 이슬람사원 갈등이 이웃 주민 간 분쟁 수준을 넘어 한국 사회의 인권 수준을 가늠하는 역할로 진화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박진 국가인권위 사무총장은 무슬림 유학생들에게 "지방자치단체 등이 문제 해결을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며 "인권위도 여러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