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슈퍼리치'의 MBTI는 'ESTJ'…자산 평균 323억원

작년 현금·예금 비중 늘려…향후 투자 의향은 주식·부동산 순
슈퍼리치 연평균소득 12억원…기업 경영자가 가장 많아

서울 중구 하나은행에서 직원이 5만원권을 펼쳐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중구 하나은행에서 직원이 5만원권을 펼쳐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초고액 자산가인 '슈퍼리치'의 총자산 평균이 323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지난해 현금 비중을 대폭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9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발간한 '2023 대한민국 웰스(Wealth)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슈퍼리치(금융자산 100억원 이상 또는 총자산 300억원 이상 보유자)의 총자산 평균은 323억원으로 1년 전보다 50억원 줄었다.

슈퍼리치의 자산 구성 변화를 보면 1년 새 부동산은 평균 206억원에서 156억원으로 줄어든 반면, 금융자산 평균은 150억원에서 161억원으로 늘어 부동산과 금융자산 비중이 비슷해졌다.

금융자산 중에서는 현·예금 비중이 1년 새 25%에서 58%로 2배 이상으로 늘었다. 반면 주식의 비중은 45%에서 16%로 줄었다.

보고서는 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예금의 선호도가 높아진 것도 있지만, 불확실성에 대비해 현금 보유 비율을 늘린 측면도 있다고 분석했다.

슈퍼리치 대부분은 올해 실물 경기와 부동산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예상하며 회복 시점에 대해 코스피는 올해 하반기 이후, 부동산은 내년 이후로 각각 내다봤다.

이들은 향후 투자 의향이 높은 자산 1순위로 주식(29%)을 꼽았다. 뒤이어 부동산(27%)과 예금(15%) 순이었다.

▶슈퍼리치의 연평균 소득은 약 12억3천만원이다. 금융회사와 거래하고 있는 금융 자산 10억원 이상인 '일반 부자'의 연평균 소득인 3억3천만원보다 약 4배 높은 수준이다.

슈퍼리치는 월 소득의 절반 이상(57%)을 저축하고 나머지는 소비(37%)와 대출금 상환(6%)에 사용했다. 소비가 59%, 저축이 38%인 일반 부자보다 저축 여력이 높은 편이다.

직업은 기업 경영자가 29%로 가장 많고, 의료·법조계 전문직이 20%로 뒤를 이었다.

슈퍼리치가 가장 많이 사는 곳은 서울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순이었다.

성격유형검사인 MBTI로 부자들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슈퍼리치 중에는 'ESTJ'(외향형·감각형·이성적·계획적)가 가장 많았다. 일반 대중 사이에서 'ESTJ'의 비율은 8.5%로 알려졌지만, 슈퍼리치 중에서는 이보다 3배 이상 많은 26.8%가 'ESTJ'형이었다.

보고서 작성을 위해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지난해 12월 2천13명(부자 745명·대중부유층 818명·일반대중 4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고, 별도로 프라이빗 뱅커(PB) 인터뷰도 진행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