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北, 주말 지나고도 무응답 일관…정부 "일방적 차단 가능성에 무게"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북한 통신선 연락 두절 관련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북한 통신선 연락 두절 관련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이 나흘째 서·동해지구 군통신선 정기통화에 무응답으로 일관했다. 최근 한미연합훈련과 인권공세 등 우리 측 압박에 반발해 고의적으로 답하지 않았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10일 국방부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 9시 군통신선 업무개시 통화에 이어 오후 4시 마감통화에도 답하지 않았다. 지난 7일 이후 나흘째 무응답 상태다. 남북공동연락사무소도 업무일 기준 이틀 연속 정기 통화에 응답하지 않았다.

10일 통일부에 따르면 이날 북측은 남북공동연락사무소의 오전 9시와 오후 5시 업무개시 통화에 응답하지 않았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 지난 7일 업무 개시·마감통화에 답하지 않자 "북측의 통신선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며 "주말을 지나 10일 통화를 시도한 뒤 원인을 찾아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국방부도 북한이 이날 오전 서·동해 군통신선 정기 교신에도 응답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 7일 이후 군통신선 교신에 응하지 않고 있다.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통신과 군통신선이 하루 이상 완전 중단된 건 2021년 10월 4일 이후 처음이다.

정부는 북한이 의도적으로 통신을 거부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일단 북측의 일방적 차단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면서 "공식적인 입장 표명에 긴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근 북한은 한미 연합훈련에 반발해 '대남 대결전'이라는 표현까지 거론하는 등 주민들을 대상으로 남한에 대한 적개심을 고취시키고 있다. 또 윤석열 대통령이 북한의 '아킬레스건'인 인권 문제를 거듭 거론해 이에 대한 불만도 표출한 바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