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코로나19 꺾이자 '여행업' 분야 취업자 25% 상승, '무점포 소매업'은 3% 하락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된 20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에서 탑승객들이 이동하고 있다.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됨에 따라 지하철을 포함해 버스와 택시 등 대중교통과 비행기에서의 마스크 착용도 시민들 자율에 맡겨진다. 연합뉴스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된 20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에서 탑승객들이 이동하고 있다.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됨에 따라 지하철을 포함해 버스와 택시 등 대중교통과 비행기에서의 마스크 착용도 시민들 자율에 맡겨진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세가 꺾이고 사회적 거리두기 제한 완화가 고용시장 판도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그간 제한됐던 여행 관련 업종은 다시 활기를 되찾아가고 있는 반면 무점포 소매업은 줄었다.

24일 통계청의 산업 소분류별 취업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여행사 및 기타 여행 보조 서비스업'의 취업자 수는 4만명으로 3만2천명이었던 2021년 하반기보다 8천명(25.0%)정도 증가했다.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시작한 2020년부터 감소 추세던 여행업 분야 취업자가 2년여만에 다시 상승 곡선으로 방향을 튼 것.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고 여행업이 활성화 될 조짐에 일반 생활 및 숙박시설 운영업 취업자 또한 15만7천명으로 전년 동기(11만9천명)보다 3만8천명(32.2%) 늘었다.

유원지 및 기타 오락 관련 서비스업과 항공여객 운송업 취업자도 각각 4천명(3.5%), 1천명(3.0%) 증가했다.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지고, 외출이 늘면서 외식업 분야의 취업자도 회복세를 보였다.

지난해 하반기 주점 및 비알코올 음료점업 취업자는 47만9천명으로, 2021년 하반기보다 7만1천명(17.4%) 증가했고 음식점업 취업자도 160만7천명을 기록해 전년 동기보다 4만3천명(2.8%) 늘었다.

지난해 하반기 영화·비디오물·방송 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 취업자는 9만8천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만1천명(27.8%) 늘었고 창작 및 예술 관련 서비스업 취업자도 11만6천명을 기록해 전년보다 1만7천명(17.4%) 증가하는 등 문화 예술업계도 다시 활성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반면, 비대면 서비스 확대 분위기에서 늘어났던 무점포 소매업 취업자는 지난해 하반기 36만1천명을 기록, 전년 동기보다 1만2천명(3.2%) 줄면서 차이를 보였다.

택배 등의 영향으로 늘었던 골판지, 종이 상자 및 종이 용기 제조업 취업자도 지난해 하반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1천명(2.4%) 줄었다.

감염자 증가 국면에서 급증했던 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 관련 제품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해 하반기 1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2천명(11.5%) 줄며 감소세로 돌아섰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