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동시의회 시민행복 예산삭감 시민·사회단체 규탄집회 잇따라

26일, 안동시노인회·안동시장애인단체협의회 기자회견
'교통약자 무시한 처사',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위해 투쟁'
'지역사회발전소'·'지방시대시민연대' 등 집회 잇따라 열어

안동시노인회와 안동시장애인단체협의회는 26일 안동시의회 앞에서 교통약자를 위한 행복택시 운영 예산을 삭감한 안동시의회를 규탄하는 집회를 가졌다. 엄재진 기자
안동시노인회와 안동시장애인단체협의회는 26일 안동시의회 앞에서 교통약자를 위한 행복택시 운영 예산을 삭감한 안동시의회를 규탄하는 집회를 가졌다. 엄재진 기자

행복택시 운영 예산과 수돗물 반값 공급 예산을 삭감한 안동시의회를 규탄하는 안동지역 시민·사회단체 집회가 잇따르는 등 지역 사회 갈등이 숙지지 않고 있다.

안동시의회는 지난 17일 끝난 임시회를 통해 안동시가 제출한 제1차 추가경정예산안에서 의원재량사업비 58억여원은 통과시킨 반면, '행복택시 확대운영' 예산 8억4천만원, 수돗물 반값 공급에 필요한 물산업 용역예산 15억원 등 시민 행복예산을 삭감했다.

이를 둘러싸고 24일부터 안동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집회를 통해 안동시의회를 규탄하고, 예산삭감을 주도한 시의원들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26일 대한노인회 안동시지부와 안동시장애인단체협의회는 안동시의회 청사 앞에서 '장애인과 노인의 교통수단인 행복콜택시 예산 삭감한 의회 규탄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 기자회견에는 김동량 노인회장과 김시일 장애인단체협의회장을 비롯해 교통·지체·시각 등 장애인단체 회장과 회원 등 40여명이 함께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두 단체는 행복콜택시 예산을 삭감한 안동시의회를 강력히 규탄하며, 행복택시 사업의 주 대상이 사회의 약자인 노인과 장애인들을 무시한 처사로 보고 강력히 규탄한다"며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동지역 시민단체인
안동지역 시민단체인 '지역사회발전소' 회원 30여명이 안동시청 정문 앞에서 시민행복 예산을 삭감한 안동시의회와 시의원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었다. 엄재진 기자

이날 오전에는 시민단체 '지역사회발전소' 소속 회원 30여명이 안동시청 정문 앞에서 현수막과 피켓을 앞세우고, 수돗물 반값 공급, 어르신 행복택시 운영을 가로막은 의회와 의원들을 규탄했다.

이들은 시민들을 위한 사업 예산을 삭감하고 자기들 뱃속만 불린 시의회와 예산 삭감을 주도한 4명의 의원을 실명으로 거론하면서 즉각 사퇴를 요구했으며, 인사청탁과 이권에 개입한 시의원을 즉각 수사할 것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 앞서 24일에는 안동지역 시민단체인 '지방시대시민연대'가 안동시청 앞에서 출근길 집회를 열고 안동시민 행복예산 삭감과 반값 수돗물 공급을 가로막은 시의원 사퇴를 촉구했다.

이날 시민연대 소속 회원 20여명은 성명서를 통해 "시민 64%의 압도적 지지로 당선된 권기창 시장의 공약사항인 반값 수돗물공급과 행복택시 정책을 해보지도 않고 두 번씩이나 예산을 전액 삭감한 시의원의 처사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고 밝혔다.

24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안동시지부도 24일 기자회견을 열어 안동시의회 이권 및 인사개입 의혹을 규탄하면서 이 같은 의혹에 대해 해명할 것을 요구했다.

김시일 안동시장애인단체협의회 회장은 "노인과 장애인들은 교통 약자들이다. 특히, 읍면지역 어르신들이 도심 병원이나 장보기 등에 나서기 위해서는 행복택시 같은 교통편의를 확대해야 하는데, 주민들의 심부름꾼인 시의원들이 반대하고 삭감한 것은 심각한 일"이라 했다.

안동지역 시민단체인
안동지역 시민단체인 '지방시대시민연대'는 24일 안동시청 정문에서 출근길 집회를 열고 시민행복 정책을 반대하는 시의원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엄재진 기자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