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의료연대 "간호법 거부권 행사 않으면 17일 총파업"

3일 대구 동성로 옛 대백 앞 집회…尹대통령에 거부권 행사 요구
11일에도 2차 연가투쟁 진행…복지부 비상 태세 유지 "휴진 자제해달라"

2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앞에서 열린 간호법 저지를 위한 13개 단체 보건복지의료연대 투쟁 로드맵 발표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2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앞에서 열린 간호법 저지를 위한 13개 단체 보건복지의료연대 투쟁 로드맵 발표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간호법을 두고 보건의료계 내 갈등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들 단체가 오는 3일과 11일 부분 파업을 예고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을 경우 오는 17일 연대 총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대한의사협회, 대한간호조무사협회 등 13개 보건의료단체가 모인 보건복지의료연대(이하 의료연대)는 2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간호법 저지를 위한 투쟁 로드맵'을 발표했다.

우선 3일에는 의료연대 소속 직군 회원들이 등이 연차를 내거나 단축 진료를 하는 방식으로 부분 파업을 실시한다.

이날 오후 대구 중구 옛 대구백화점 앞에서는 대구경북 보건복지의료연대가 '더불어민주당 입법 독재 규탄 및 400만 보건복지의료연대 총선기획단 출범식'을 여는 등 전국 각 시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더불어민주당을 규탄하는 집회가 진행된다.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대학병원, 종합병원 등에 속한 간호조무사, 방사선사 등이 연차를 내는 방식으로 부분 파업에 돌입하며, 의료 현장에 미치는 여파는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의료연대는 11일에도 2차 연가·단축 진료에 나서며, 이 같은 집단행동에도 간호법 재논의 요구가 수용되지 않으면 오는 17일 '400만 연대 총파업' 등 수위가 높은 투쟁을 벌이기로 했다.

의료연대는 "파업 등 단체행동에 대한 의협 설문조사에서 찬성률이 80%가 넘는 등 악법에 반발하는 의료계의 여론이 매우 높다"며 "국민께 의료공백으로 인한 불편과 우려를 끼치고 싶지 않기에 심사숙고해가며 투쟁 방법과 강도를 조절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의료연대는 17일 이후 파업 계획에 대해서는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여부를 보고 추가로 논의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의료계에 집단행동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하면서 의료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비상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복지부는 이날 박민수 제2차관 주재로 제3차 긴급상황점검회의를 열고 "보건의료인들이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의료현장을 지켜주시기 바라며, 휴진은 자제해 달라"며 "지방자치단체는 휴진으로 인한 진료 공백이나 국민의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관내 의료기관 관리에 만전을 기해주길 바라며, 지역 병·의원급 의료기관도 일반 환자 진료와 응급실 운영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협조해 달라"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