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與 지도부 리스크로 휘청대자 '돈 봉투' 쇄신책으로 출구전략 찾는 野

더불어민주당의
더불어민주당의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과 관련해 금품 살포의 최종 수혜자로 지목된 송영길 전 대표가 2일 오전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서 돌아 나가고 있다. 송 전 대표는 현시점에서는 조사가 어렵다는 검찰 측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이날 자진 출두를 강행했다 출입이 거절되자 돌아갔다. 연합뉴스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에 휩싸인 더불어민주당이 당내 선거비용 투명화 등 재발방지책 마련에 착수했다.

민주당은 이달 내 돈 봉투 의혹과 관련해 쇄신책 도출을 위한 1박 2일 워크숍을 열고 난상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의원들은 물론 일반국민 여론조사도 병행해 토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지난 3일 열린 의원총회에서도 당내 선거비용 투명화 문제가 집중적으로 거론됐다. 전당대회와 같은 당내 선거는 후원금 지출에 대한 세부 규정이 없는 것이 이번 돈 봉투 의혹을 초래했다는 데 의원들이 문제의식을 공유했다는 후문이다.

정당법 개정이 필요한 사안이지만 민주당은 자체 쇄신안을 먼저 마련한 후 여당과 협상을 통해 입법에 착수할 전망이다.

민주당이 돈 봉투 의혹을 계기로 당내 불법 정치자금 근절에 속도를 내는 것은 지도부 리스크에 빠진 국민의힘과 차별성을 부각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최근 국민의힘은 태영호 최고위원의 녹취록에 따른 용산 공천 개입 논란에까지 직면하며 전·현직 대표 사법 리스크가 분출한 민주당에 반사 효과를 전혀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송영길 전 대표에 대한 검찰 수사와 별개로 민주당 자체 쇄신안을 띄우며 '돈 봉투' 리스크를 떨쳐내겠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당 일각에서 제기되는 돈 봉투 의혹 자체 진상조사 여부는 불투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지도부는 '셀프 조사'에 한계가 있다며 내부 조사 계획을 철회했지만, 당 일각에서 강하게 반발하자 최근 재검토를 논의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