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기부금이 서울권 대학에 몰려 지방대 육성을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8일 한국사학진흥재단의 '사립대학 재정 통계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사립대 192곳의 기부금 수입은 4천88억3천2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사립대 자금 수입(18조5천211억9천만원)의 2.2%를 차지한다.
대학 기부금 수입은 대학이 기업이나 지역 사회, 동문 등으로부터 얼마나 적극적으로 지원을 받고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기부금 수입이 많은 대학일수록 자원 조달이나 취업, 평판 등 부문에서 경쟁력이 높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지역별로 살폈을 때 서울에 있는 사립대의 기부금 수입은 2천406억4천만원으로, 전체 사립대 기부금의 58.9%가 편중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사립대의 기부금 수입은 2천865억5천만원으로 전체의 70%에 육박했다.
수도권을 제외한 대구, 부산, 대전, 울산, 광주 등 5개 광역시 소재 사립대 기부금은 597억2천600만원으로 전체 기부금의 14.6%였다. 대구 지역 기부금 수입은 36억7천만원으로, 5개 광역권 내에서도 최하위를 차지했다.
이는 학교 수가 1곳으로, 다른 광역권(부산, 대전 각각 9곳, 광주 8곳)에 비해 적은 영향도 있다. 하지만 울산의 경우 사립대학이 2곳밖에 없지만 기부금 수입은 199억원에 달해 대구와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경북을 비롯한 강원, 경남, 전북, 전남, 충북, 충남, 제주, 세종 등 지방권 사립대의 기부금은 총 625억5천500만원으로 15.3%에 그쳤다.
이 중 경북은 총 243억원(16개 대학)으로, 지방권 안에선 기부금 수입이 가장 많았다.
수도권 사립대는 100곳, 비수도권 사립대는 92곳으로 대학 수는 비슷하지만, 기부금 규모는 수도권이 비수도권의 2.3배에 달했다.
그러다보니 한 학교당 평균 기부금도 지역별 편차가 컸다.
서울 사립대 1개교당 기부금 수입은 42억9천700만원인데,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으로 범위를 넓히면 사립대 1개교당 기부금 수입은 28억6천600만원으로 떨어졌다.
수도권을 제외한 광역시 소재 사립대 1개교당 기부금은 20억6천만원, 나머지 지방권 사립대 1개교당 기부금은 9억9천300만원에 그치는 수준이었다.
사립대 기부금의 지역별 편차가 나타나는 것은 결국 서울 일부 사립대를 제외하면 대부분 사립대가 지역 사회 지지 기반이 넓지 않고 경쟁력이 저하돼 있다고 볼 수 있는 부분이다.
학령 인구 감소, 15년간 이어진 등록금 동결 등으로 지방대 위기가 가속화함에 따라 지방대 기부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편, 최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방대 기부금에 대해 세액 공제를 확대하는 내용의 '조세특례제한법', '지방대학 및 지역 균형 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 법률안을 국회에 발의했다.
도 의원은 "이른바 상위권 특정 학교에 대학 기부금이 집중되는 현상이 여전하다. 특히 수도권 소재 대학에 기부금이 편중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기부금 편중이 지역 거점 대학 육성과 대학 상향 평준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