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를 글로벌 기준과 동일한 규제수준으로 만들어 국내 기업이 글로벌 기업과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하는 '글로벌 혁신특구'로 조성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된다.
안동시는 지난 8일 오전 정부 서울청사에서 경제부총리 주재로 한 '제233차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발표한 '글로벌 혁신 특구 조성방안'에 따라 세계적인 바이오생명산업 중심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글로벌 혁신 특구' 유치 총력전에 나섰다.
정부가 발표한 '글로벌 혁신특구 조성방안'은 규제 수준을 글로벌 기준과 동일한 수준으로 맞춰 신산업 분야에서 국내 기업이 글로벌 기업과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기존 규제자유특구를 고도화하고 확대 개편해 미래기술 분야의 신제품 개발과 해외 진출을 위한 규제·실증·인증·허가·보험까지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는 제도가 적용되는 구역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공동으로 성과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대학·연구소와 글로벌 기업까지 참여하는 혁신 클러스터 조성을 목표로 올해 2~3개 시범 조성에 나선다.
2027년까지 인공지능(AI), 모빌리티, 바이오 등 첨단 분야 글로벌 혁신특구 10개를 조성해 딥테크 기반 유니콘 기업을 각 지역별로 1개씩 총 10개 특구를 육성하는 것이 목표다.
이에 따라, 안동시가 중점 추진하는 헴프 규제자유특구 산업을 발판으로 '산업용 헴프 글로벌 혁신특구'로 지정·조성하기 위해 행정력을 총동원해 발빠르게 유치 방안을 마련했다.
안동시는 2024년 11월 30일까지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돼 실증을 추진 중에 있으며, 지난 3월 15일에는 바이오생명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선정으로 바이오·백신·헴프산업의 강점이 이미 증명된 상태다.
앞으로 경북바이오산업단지 내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한국친환경융합소재센터 등 지원기관 및 헴프산업 관련 기업체들과 연계한 클러스터 조성, 지역 내 대학교에 전략학과 신설 및 지원을 통한 인력확보에 나선다.
특히, KTX와 대구경북신공항 등 탁월한 입지여건 등을 철저하게 분석해 '산업용 헴프 글로벌 혁신특구' 유치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안동시민의 염원이었던 바이오생명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선정 이후 다시 한번 안동시가 세계적인 바이오생명산업 도시로 나아갈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생각한다"며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해 '산업용 헴프 글로벌 혁신특구' 유치로 바이오생명산업 메카로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