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거액의 가상자산(코인) 논란에 휩싸인 김남국 의원에게 칼을 빼들었다. 당 진상조사단에 외부 전문가까지 섭외하면서 빠른 수습에 나선 모습이다. 14일 쇄신의총이 예정된 가운데 사태 수습 및 당 신뢰 회복 방안 마련에 대한 부담감도 커지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 국회에서 김병기 수석사무부총장을 팀장으로 하고 경제 전문가인 이용우·홍성국 의원, 변호사 출신 김한규 의원이 참여한 진상조사단 첫 회의를 열었다. 조사단은 조사의 객관성과 전문성을 담보할 복수의 외부 전문가 섭외도 마쳤다.
김 수석사무부총장은 "지금까지 의문이 제기된 것을 조사할 것"이라며 "코인 계좌 거래 내역을 살펴보면 의문이 상당 부분 해소되지 않을까 기대한다. 김남국 의원이 관련 자료를 제출하고 적극 조사에 임하겠다고 말했기에 신속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진상조사단은 당 지도부가 조사단을 구성하고 김 의원에게 가상자산 매각을 권유한 지 하루 만에 가동됐다. 최근 전당대회 돈 봉투 파문에 이어 김 의원의 코인 논란에 대한 여론 악화를 우려해 기민하게 대응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최대한 자세를 낮추면서 조사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박광온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변화의 속도에 따라가지 못한 것에 대한 지적을 아프게 받아들인다"며 "이번 기회에 공직자 윤리 기준과 규범을 면밀히 살펴보고 투명성을 더 강화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윤건영 의원도 MBC 라디오에 출연해 "(김남국 의원) 본인으로서는 대단히 억울하다고 항변할 수는 있겠지만 국민들이 왜 화가 났는지를 냉정하게 자성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일각에서는 '가상자산 보유 전수조사' 같은 특단의 대책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도부는 아직 전수조사까지는 검토하지 않았다는 입장이지만, 당내 최대 의원 모임인 '더좋은미래'가 자당 의원을 상대로 한 전수조사를 요구한 바 있다.
14일 예고된 쇄신 의총에도 관심이 쏠린다. 돈 봉투 파문과 관련해서 재발 방지를 위한 쇄신에 초점을 맞춰 대의원제 개선 등 전당대회 투명성 확보 방안 마련에 집중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거액의 코인 논란 여파에 2030대를 중심으로 여론이 악화되면서 쇄신 의총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연이은 도덕성 해이 문제를 심각하게 바라보고 신뢰 회복을 위한 해법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박광온 원내대표는 중도층 공략을 위해 쇄신 의총을 마련했지만 악재가 연이어 터지며 오히려 의총에 대한 부담감이 커졌다는 얘기도 나온다. 쇄신안 결과에 따라 박 원내대표의 리더십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