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동시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인구감소 지역에 우선 배치하라"

25일 국회소통관서 안동시 등 18개 시·군 공동 기자회견
공공기관 지방이전 지방인구 소멸 대응 마지막 정책 수단
안동시, 문화관광·교육·바이오·백신·에너지 기관유치 노력

권기창 안동시장이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권기창 안동시장이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18개 시·군 공공기관 유치 추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제2차 공공기관 이전, 인구감소도시 우선 배치 촉구'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안동시 제공

경북 안동시를 비롯한 전국 18개 인구감소지역 기초자치단체들이 정부를 향해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시 인구감소 지역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25일 국회 소통관에서 '제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비혁신·인구감소 도시 우선배치 촉구' 공동 기자회견이 열렸다.

경북 안동·영주·상주·문경·봉화, 경남 밀양, 강원 동해·횡성, 전북 고창, 충북 충주·제천·옥천·괴산·보은·단양, 충남 공주·논산·부여 등 18개 지자체가 참석했다.

이날 공동성명 발표는 지난 3월 제천시에서 13개 지자체가 모여 공공기관 인구감소지역 이전 촉구 공동성명서를 발표한 이후, 인구감소지역 지자체 공동대응을 확산해나가기 위한 후속 조치로 마련됐다.

이들 지자체는 공동 성명문에서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 기준의 변화를 촉구했다.

이들은 "공공기관 지방이전이 지방인구 소멸에 대응하는 마지막 정책적 수단임을 인식하고 혁신도시뿐 아니라 인구감소지역 도심으로 이뤄져야 지방의 인구소멸과 구도심 공동화 문제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동시는 이전 대상 공공기관 중 안동시 주력산업인 문화관광·교육·바이오·백신, 에너지 분야 등의 공공기관 유치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안동시의회는 같은 날 제241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김새롬 시의원이 대표 발의한 '안동시 공공기관 등의 유치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통과시켜 전폭적인 행·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이전 공공기관 유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18개 시·군 공공기관 유치 추진 공동 기자회견이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리고 있다. 안동시 제공
18개 시·군 공공기관 유치 추진 공동 기자회견이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리고 있다. 안동시 제공

권기창 안동시장은 "지방 중심의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자치분권‧재정분권과 함께 정치‧경제‧사회‧교육‧문화의 지방 중심 교류시스템으로 전환, 국가 발전축이 서울~부산을 잇는 경부축 중심에서 X축 중심으로 정책이 변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공기관 이전은 어느 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공공성·정체성·편의성을 충족하는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이전해야 국가균형발전을 앞당길 수 있다"며 "우리도 생존을 위한 자구책으로 18개 시군이 함께 손을 맞잡고 공동 대응해 인구감소지역에 공공기관이 우선 배치되도록 힘을 모아가겠다"고 했다.

한편, 안동시는 지난 4월 정책토론회를 열어 공공기관 유치에 대한 시민 공감대를 형성하기도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