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지난해 발생한 진해만 정어리 피해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지난 25일 경남연구원에서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창원시 등과 함께 사전대책 마련을 위한 협의회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지난해 9~10월 기간 진해만에 유입된 정어리 대량 폐사로 인해 도심 주거·관광시설 악취, 수질오염, 폐사체 수거·처리 등 사회·경제·환경적으로 큰 피해를 초래한 바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올해도 지난해처럼 남해안 연안에 다량의 정어리 무리가 출현할 것으로 전망돼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정어리 대량폐사가 일어나기 전 가공 등 산업적으로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남도에서는 지난 18일 창원시와 함께 정어리 조기 출현, 폐사 예방에 대한 사전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긴급 실무회의를 개최해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논의한 바 있다.
이어 25일 관계기관 긴급 대응 협의회에서는 정어리 대량 연안 유입에 대비, 신속 포획 가능한 어업을 활용해 단계별 대응 대책을 협의했다.
이날 협의한 단계별 대응은 ▷어린정어리 시기에는 산업적 가치가 높기 때문에 포획해서 자숙 등 1차 가공을 거쳐 상품으로 판매해 어업인 소득 제고·정어리 대량발생 감소 ▷중간어 이상의 경우, 통조림 등으로 가공하거나 냉동해 자원 효율적 활용 ▷폐사 발생 시 경남도, 창원시, 해수부가 협업해 비료화, 사료화, 소각 등을 신속 처리해 주민불편·환경오염 최소화 등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정 지지도 48.3%…50%선 '붕괴'
정청래 "국힘, 정상회담 평가절하 이해 안돼…나라 망치라는 건가"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장동혁 "결단하라" 요구에…조경태 "尹 털고가자는게 잘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