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남도, 정어리 피해 사태 재발 방지…사전대책 논의 협의회 개최

경남도는 지난해 발생한 진해만 정어리 피해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지난 25일 경남연구원에서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창원시 등과 함께 사전대책 마련을 위한 협의회를 개최했다. 제공 경남도
경남도는 지난해 발생한 진해만 정어리 피해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지난 25일 경남연구원에서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창원시 등과 함께 사전대책 마련을 위한 협의회를 개최했다. 제공 경남도

경남도는 지난해 발생한 진해만 정어리 피해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지난 25일 경남연구원에서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창원시 등과 함께 사전대책 마련을 위한 협의회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지난해 9~10월 기간 진해만에 유입된 정어리 대량 폐사로 인해 도심 주거·관광시설 악취, 수질오염, 폐사체 수거·처리 등 사회·경제·환경적으로 큰 피해를 초래한 바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올해도 지난해처럼 남해안 연안에 다량의 정어리 무리가 출현할 것으로 전망돼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정어리 대량폐사가 일어나기 전 가공 등 산업적으로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남도에서는 지난 18일 창원시와 함께 정어리 조기 출현, 폐사 예방에 대한 사전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긴급 실무회의를 개최해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논의한 바 있다.

이어 25일 관계기관 긴급 대응 협의회에서는 정어리 대량 연안 유입에 대비, 신속 포획 가능한 어업을 활용해 단계별 대응 대책을 협의했다.

이날 협의한 단계별 대응은 ▷어린정어리 시기에는 산업적 가치가 높기 때문에 포획해서 자숙 등 1차 가공을 거쳐 상품으로 판매해 어업인 소득 제고·정어리 대량발생 감소 ▷중간어 이상의 경우, 통조림 등으로 가공하거나 냉동해 자원 효율적 활용 ▷폐사 발생 시 경남도, 창원시, 해수부가 협업해 비료화, 사료화, 소각 등을 신속 처리해 주민불편·환경오염 최소화 등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