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원자력학회장 "후쿠시마 오염수 10ℓ 마시면 X-레이 한 번 찍는 수준"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오염수를 10ℓ 정도 마시는 것과 X-레이 사진 한 번 찍는 것의 방사능 노출 수준이 비슷하다는 주장이 국내에서 제기됐다.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저지를 위한 정의당 이정미 대표 단식 농성 돌입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오염수를 10ℓ 정도 마시는 것과 X-레이 사진 한 번 찍는 것의 방사능 노출 수준이 비슷하다는 주장이 국내에서 제기됐다.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저지를 위한 정의당 이정미 대표 단식 농성 돌입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오염수를 10ℓ 정도 마시는 것과 X-레이 사진 한 번 찍는 것의 방사능 노출 수준이 비슷하다는 주장이 국내에서 제기됐다.

백원필 한국원자력학회 회장은 26일 서울 외교타운에서 국립외교원이 주최한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토론회에서 오염수에 포함된 삼중수소가 다른 방사성 물질과 비교해 반감기가 짧고 방사선량도 적어 "방사성 물질 중 가장 덜 위험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삼중수소의 유효반감기는 10일로 체내에 유입되더라도 10일 이내에 절반이 배출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와 후쿠시마 제1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올해 여름 이후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정화한 오염수를 바닷물로 희석해 후쿠시마현 앞바다에 방류할 계획이다. 오염수를 ALPS 장비로 정화해도 삼중수소는 걸러지지 않는다.

일본 측의 계획에 따르면 후쿠시마 제1원전의 삼중수소 연간 총배출량은 22조 베크렐이다. 백 회장은 원자력연구원과 해양과학기술원의 공동 평가를 인용해 오염수 방류 후 2년 뒤 한국 관할 해역에 ℓ당 0.0000001베크렐 농도로 일시 유입된 뒤 4∼5년 뒤 본격적으로 유입되며, 10년 후 유입 농도는 약 0.000001베크렐 안팎으로 수렴한다고 전했다.

그는 "국내 해역의 삼중수소 평균 농도는 ℓ당 0.172베크렐로 (오염수 배출에 따른 국내 해역 유입) 농도는 기존에 존재하는 삼중수소 농도의 10만분의 1로 정밀 분석기로도 검출하기 힘든 수준"이라며 일본의 오염수 방류가 국내 해역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주장했다.

백 회장은 게다가 한국 원전의 삼중수소 총 배출량은 연간 200조 베크렐 이상으로 후쿠시마 제1원전의 삼중수소 배출량의 10배에 달한다면서 일본의 오염수 방류를 반대하기 어렵다는 논리를 펴기도 했다.

김영호 부경대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조교수도 일본이 오염수를 방류해도 일본 열도 남동쪽에서 흐르는 구로시오 해류로 인해 캐나다와 미국에 먼저 도달하고 방대한 태평양을 돌아 4∼5년 뒤 일부가 국내 해역에 도달한다면서 7개월 만에 남해에 도달한다는 일각의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미약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립외교원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국민의 과도한 불안감을 불식하기 위해 이날 토론회를 개최했다. 박철희 국립외교원장은 토론회 개회사에서 후쿠시마 오염수를 둘러싼 소문과 괴담이 소모적인 논쟁을 초래한다면서 국제적 기준과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