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임시국회부터 쉬지 않고 달려온 국회가 숨 고르기에 들어가면서 지역 현안 법안도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7월 말~8월 초 휴가철을 앞둔 데다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 김영호 통일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등 정쟁 요인이 적지 않아서다.
7월 임시국회는 첫 주를 건너뛰고 10일쯤 소집될 전망이다. 8월 임시국회를 앞두고도 잠시 휴지기를 갖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지난해 8월 16일 소집된 뒤 국회의원 '방탄 논란'과 함께 풀가동된 국회가 잠시 멈춰섰다.
국회가 회기 중 불체포특권을 누린다는 방탄 논란에 대한 부담이 작용했지만 지역 현안 처리가 지연되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걱정도 적잖다.
국회 처리가 시급한 지역 현안으로는 당연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이 우선순위로 꼽힌다.
포화 상태가 임박한 고준위방폐물 영구처분장 건설 등 근거가 담긴 고준위방폐물 관리 특별법은 지난해 8월 국민의힘 이인선·김영식 의원안이 각각 발의된 뒤 수차례 소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산업통상자원특허법안심사소위 심사를 거쳤지만 여전히 의결되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산중위 상임위원장과 간사 교체 등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 한 차례도 법안심사소위 심사를 받지 못하는 등 표류했다.
이인선 의원실 관계자는 "빠듯한 일정이지만 이달 중 두 차례 가량 상임위 전체회의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 사이 법안심사소위가 열리면 고준위특별법을 통과시키고, 전체회의 문턱도 넘을 수 있도록 노력할 작정"이라고 했다.
지난달 가장 큰 난관이던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한 '도심융합특구법'은 법사위 전체회의, 본회의 의결이 시급한 상황이다.
대구 북구 산격동 경북도청 후적지 등 개발을 위한 근거가 담긴 이 법안은 2020년 12월 선정 이후 2년여간 지지부진한 도심융합특구 조성 사업이 속도를 낼 수 있도록 할 핵심 열쇠로 꼽힌다.
법안을 대표발의한 김정재 의원실 관계자는 "앞서 법사위에 계류돼 쌓여 있는 법안들이 얼마나 빨리 처리되는지가 관건"이라고 전했다.
산적한 중앙정치 현안도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여야 이견이 조율된 도심융합특구법은 그나마 분위기가 나쁘지 않지만, 고준위특별법은 아직 쟁점이 팽팽하다. 야당이 정치적 이득도 없이 법안에 합의해 줄지 의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노란봉투법, 인사청문회 등 주목도가 높은 정쟁거리도 있다"며 "가뜩이나 짧은 임시국회라 지역 현안 처리에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지 않으면 동력을 얻기 어려울 것"이라고 봤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