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태풍 카눈] 태풍 카눈 누적강수량 "힌남노 절반 수준" 한숨 돌린 포항시

침수 등 큰 피해 없이 10일 오후 3시쯤 소강상태 보여
‘무사히 넘어가서 다행’ 대피 주민들도 서서히 집으로 돌아가

10일 오후 2시쯤 포항시 남구 해도동 형산교 일대 시설물이 물에 잠겨 있다. 낙동강홍수통제소는 정오쯤 이곳에 홍수주의보를 발령했다. 신동우 기자
10일 오후 2시쯤 포항시 남구 해도동 형산교 일대 시설물이 물에 잠겨 있다. 낙동강홍수통제소는 정오쯤 이곳에 홍수주의보를 발령했다. 신동우 기자

경북 포항지역에서 태풍 '카눈'이 10일 오후 3시쯤 소강상태를 보이며 잔뜩 마음을 졸였던 주민들과 산업계가 서서히 한숨을 돌리는 모습이다.

지난해 태풍 '힌남노'의 악몽을 잊지 못했던 포항은 일찌감치 주민들이 대피하고 공장들마다 대비 태세에 들어간 덕에 다행히 별다른 큰 피해 없이 무사히 고난을 넘겼다.

포항시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기준으로 태풍 '카눈'으로 인한 평균 누적강수량은 180.9㎜을 기록했다. 적지 않은 비지만,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 때 378.8㎜의 누적강수량과 비교하면 절반에 못 미치는 47.7% 수준이다.

지난 '힌남노' 때 수백명의 이재민이 발생하며 가장 큰 피해를 입었던 포항시 남구 대송면의 주민들은 이날 아침부터 인근 칠성천의 범람 위험으로 일찌감치 피난길에 올랐으나 오후부터는 비가 그치자 삼삼오오 각자의 집으로 돌아가고 있다.

태풍
태풍 '카눈'을 피해 포항시 남구 대송면 주민들이 다목적복지회관에서 몸을 피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지난해 '힌남노'로 큰 피해를 입었던 이재민들이다. 신동우 기자

이날 오전까지 대송면의 주민들은 칠성천의 수위가 제방 끝에서 고작 1m도 안되는 거리까지 차오르자 한때 250명 이상이 급히 짐을 싸고 대피소나 인근 친척집으로 대피했다.

비가 거의 그친 오후 3시 현재는 약 50명의 인원이 다목적복지회관에서 상황 변화를 지켜보고 있다. 이들 또한 이날 오후 5시 30분쯤 주민대피 명령이 되먼서 저녁에는 집에서 잠에 들 수 있게 됐다.

대송면 행정복지센터 관계자는 "한 때는 또 한 번 어떻게 되는 것 아닌지 걱정했는데 정말 다행이다. 거동이 힘드신 몇몇 분을 빼고는 대부분 일상으로 복귀하고 계신다"고 말했다.

'힌남노' 시기 사상 처음으로 침수로 인해 가동이 중단됐던 포항제철소 등 철강공단 관계자들도 조금은 편해진 마음으로 태풍경보가 해제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이날 정오쯤 관문인 형산교가 위험 수위까지 차오르며 홍수주의보가 발령되는 등 한때 아슬아슬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지만, 다행히 더 이상의 이상 징후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포스코에 따르면 이번 태풍에 대비해 내려졌던 비상근무(을종경보)는 이날 오후 2시 30분을 기해 해제됐으며, 지난 '힌남노' 때 직접적인 피해를 끼쳤던 냉천 방면으로 세워졌던 3문 차수문도 오후 3시 10분쯤 개방됐다.

문충도 포항상공회의소 회장은 "지난해 힌남노로 큰 상처를 입었던 포항은 이번 태풍피해 예방을 위해 관계기관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며 "지역에 큰 피해 없이 태풍이 지나가 지역경제계가 안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