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세력 약해진 '카눈' 느린 속도로 북서진…태풍주의보로 대체

태풍 지나간 뒤 비와 바람도 소강 상태

10일 오후 대구 군위군 효령면 병수리가 태풍 카눈으로 하천 제방이 유실돼 물에 잠긴 가운데 119구조대가 혹시 모를 실종자를 찾기 위해 수색을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10일 오후 대구 군위군 효령면 병수리가 태풍 카눈으로 하천 제방이 유실돼 물에 잠긴 가운데 119구조대가 혹시 모를 실종자를 찾기 위해 수색을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강한 바람과 많은 비를 동반한 제6호 태풍 '카눈'(KHANUN)이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피해를 입힌 채 대구경북을 벗어나 북상하고 있다.

사상 최초로 태풍이 한반도를 관통하면서 큰 피해를 입힐 것으로 우려됐으나 육지에 상륙하면서 세력이 약화된 탓에 대구경북 지역은 상대적으로 적은 피해를 입었다.

10일 오전 9시 20분쯤 경남 거제에 상륙한 제6호 태풍 '카눈(KHANUN)'은 오후 4시 충북 충주 남동쪽 30㎞ 지점을 지나 시속 31㎞ 정도로 북북서진하고 있다. 이날 늦은 밤 서울 북동쪽으로 수도권을 지날 전망이다.

카눈의 중심기압과 최대풍속은 각각 985hPa(헥토파스칼)과 24㎧(시속 86㎞)로 강도 등급이 따로 부여되지 않을 정도로 세력이 약해졌다. 태풍의 강도는 최대풍속이 25㎧ 이상일 때부터 매겨진다. 다만 태풍은 그 자체가 강력한 기상현상이어서 강도 등급이 없더라도 절대적으로 약하지는 않다.

카눈은 상륙 직전까지 '강'의 강도를 유지했으나 상륙하면서 세력이 조금씩 약해졌다. 태풍의 강도를 높이는 데는 강수대와 이동 속도가 중요하다. 지난해 포항에 큰 피해를 입힌 태풍 힌남노는 이동 속도가 카눈보다 2배 정도 매우 빠른 편이었다. 힌남노는 포항 부근 해상에서 정체를 하는 바람에 특정 지역에 많은 비를 쏟아내서 피해가 키웠다.

기상청 관계자는 "고기압의 발달로 카눈이 지그재그로 움직이며 북상했다"며 "강도 측면에서는 2003년 매미나 2002년 루사에 비해서는 약했다"고 설명했다.

태풍이 지나간 뒤에는 비와 바람도 소강 상태를 보였다. 기상청은 오후 4시 30분을 기해 대구에 내려졌던 태풍경보를 태풍주의보로 대체한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