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초전도저온학회 LK-99 검증위원회(이하 검증위)가 국내 연구팀이 상온·상압 초전도체라고 주장한 물질 'LK-99' 샘플을 일부 제조한 결과 현재까지 초전도성을 나타내는 측정 결과가 없다고 밝혔다. 전날 국제학술지 네이처지에 이어 국내에서도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주장을 내놨다.
검증위는 18일 서면브리핑에서 "LK-99 제조공정에 따라 만들어진 불순물이 포함된 시료(샘플) 및 불순물이 최소화된 단결정 시료를 일부 제조했다"며 "확보한 시료 특성을 측정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초전도성을 나타내는 측정 결과는 없다"고 밝혔다.
앞서 검증위는 검증에 참여한 서울대, 성균관대 양자물질 초전도 연구단, 고려대 외 부산대, 한양대, 성균관대 전자활성에너지소재연구실, 경희대가 추가로 참여해 총 일곱 군데가 샘플 재현실험을 진행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중 한양대 고압연구소가 지난 11일 LK-99의 재료 중 하나로 수급에 어려움을 겪던 황산납을 외국에서 확보해 다른 연구실에 제공했고, 이후 샘플을 일부 제조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한편 검증위는 최근 전 세계 연구진이 LK-99 복제를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는 일부 보도와 관련해 "이미 많은 외국 기관이 재현실험을 수행했다"며 "이런 경우에도 'LK-99를 상온 초전도체라 보기 어렵다'는 검증위 입장은 그대로 유지된다"고 밝혔다.
한편 국제학술지 네이처지도 전날 파스칼 푸팔 박사가 이끄는 막스플랑크 고체연구소 연구팀이 LK-99의 순수한 단결정 합성에 성공했으며 LK-99 단결정은 초전도체가 아니라 오히려 절연체임을 밝혀냈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지난 14일 공개한 이 연구에서 한국 연구팀이 제시한 초전도 유사 현상은 LK-99 제조 과정에서 생긴 불순물인 황화구리(C₂S)로 인한 것이라며 "우리는 초전도 존재를 배제한다"고 결론 내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