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우원식 "홍범도 공산당 활동 관여 기록 없어…박정희 전 대통령도 좌익 가담"

"흉상 철거 시도 주체 윗선 밝혀내야"

지난 2018년 3월 1일 서울 육군사관학교에서 열린 독립전쟁 영웅 5인 흉상 제막식에서 사관생도와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홍범도, 김좌진, 지청천, 이범석 장군, 그리고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한 이회영 선생의 흉상. 연합뉴스
지난 2018년 3월 1일 서울 육군사관학교에서 열린 독립전쟁 영웅 5인 흉상 제막식에서 사관생도와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홍범도, 김좌진, 지청천, 이범석 장군, 그리고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한 이회영 선생의 흉상. 연합뉴스

육군사관학교 교정에 세워진 홍범도 장군 흉상을 이전한다는 정부 방침이 나온 가운데,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홍범도 장군 기념사업회 이사장)은 "(홍 장군이) 공산당에 가입한 경력이 있기는 하지만, 활동에 관여했다는 기록은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28일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홍범도 장군의 활동은 오직 조국의 독립이었다. 27년에 공산당에 가입을 했는데 그 때는 이분이 살던 곳이 연해주고 거기가 소련 땅이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 의원은 "북쪽 정권 수립에 관여했다거나 6.25 전쟁에 참전한 것도 아닌데 독립운동의 좌우가 따로 있느냐"며 "그러면 좌익에 가담했던 박정희 전 대통령 업적도 지워야 되는 거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 의원은 또 "문재인 정부 때 결정했던 게 용산에 독립전쟁 기념공원을 만들자는 것이었다. 기본 계획도 세워졌었다"며 "독립전쟁 때 참여한 많은 장군들, 무명용사들을 기리는 독립전쟁 기념공원을 만들기로 했는데 그게 윤석열 정부 들어서서 그냥 없어져 버렸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홍범도 장군 흉상을 이전한다는 국방부 방침에 변화가 없다면 어떻게 대응할 건지'를 묻는 진행자 말에는 "정부의 흉상 철거를 시도한 주체, 그 윗선을 밝혀내고 철거 시도 이유와 배경에 대해서 국회 차원에서 진상규명을 하겠다"고 답했다.

앞서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지난 25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북한을 대상으로 전쟁을 억제하고 전시에 이기기 위해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는 육사에서, 공산주의 경력이 있는 사람이 있어야 되겠느냐'는 문제가 제기됐다"며 홍범도 장군의 소련 공산당 입당 경력을 언급했다.

흉상 철거 논란이 일자 육사 측은 "철거가 아니라 교내 다른 장소나 교외로 이전 방안을 검토하는 것 뿐으로 흉상 이전이 독립군과 광복군의 역사를 국군의 뿌리에서 배제한다는 의미는 아니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앞서 국방부 역시 지난 26일 "육사는 자유민주주의와 국가를 수호하기 위한 호국간성 양성기관으로서 군의 역사와 전통을 기념하는 교내 다수의 기념물 정비 방안을 검토하여 추진하고 있다"며 흉상 철거 방침을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