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윤 대통령, 9월 5일부터 5박7일 '아세안·G20' 정상회의 참석

인도네시아·인도 잇따라 방문…김건희 여사도 동행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왼쪽)과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이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인도네시아 아세안, 인도 G20 정상회의 참석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왼쪽)과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이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인도네시아 아세안, 인도 G20 정상회의 참석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9월 5일부터 5박 7일 일정으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 등 다자외교를 위해 인도네시아와 인도를 잇따라 방문한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31일 "윤 대통령은 5일부터 8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를 방문해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김건희 여사도 이번 순방에 동행한다.

윤 대통령은 6일 오전 한-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 한국과 아세안 간 실질 협력 현황을 점검하고 미래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이날 오후엔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 아세안과 한중일 간 협력을 어떻게 활성화할지 논의하고,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이어, 아세안 청년들의 인공지능(AI) 데이터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한-아세안 AI청년페스타 행사에 참석한다. 이날 저녁엔 아세안 의장국인 인도네시아 측이 주최하는 갈라 만찬에 참석해 각국 정상들과 교류할 예정이다.

7일엔 18개국 정상이 참여하는 전략적 성격의 포럼인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참석, 북핵 문제를 포함한 역내 현안과 국제 현안에 대한 입장을 개진하고, 기여 방안도 설명다.

이날 오후엔 대한상공회의소와 인도네시아 상공회의소가 공동 주최하는 한국-인도네시아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 참석할 계획이다.

김 차장은 "이번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참석 계기로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캄보디아 등과의 양자회담을 가지고, 다른 아세안 회원국 및 파트너들과의 양자 정상회담도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한-인도네시아 양자회담도 가진다. 윤 대통령은 정상회의가 끝난 다음 날인 8일 오전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초청으로 자카르타 대통령궁에서 개최되는 공식 환영식에 참석하고 조코 위도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올해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을 기념하는 공식 방문 형식으로 진행되는데, 정상회담 후 주요 협력 문서에 서명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일정을 마친 뒤 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다음 순방지인 인도 뉴델리로 이동한다.

9일 오전 G20 정상회의 프로그램인 첫 번째 '하나의 지구' 세션에 참석, 각국 정상과 기후 변화, 환경, 에너지 전환 문제를 논의하고,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대한민국의 선도적 역할을 강조한다.

이날 오후 열리는 두 번째 '하나의 가족' 세션에 이어 인도 모디 총리가 주최하는 만찬에 참석할 계획이다.

10일 오전엔 각국 정상과 함께 간디 추모공원에서 현화와 식수 등의 부대 행사를 갖고, '하나의 미래'를 주제로 하는 세션 3에 참석해 규범 기반 국제 질서 수호를 통해 자유롭고 평화로우며 번영하는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한 한국의 주요 계획을 설명한다.

G20 정상회의 일정을 모두 마친 뒤 인도 현지 진출 기업인들과 간담회도 가질 예정이다.

김 차장은 "윤 대통령은 이번 G20 정상회의 기간 동안 의장국인 인도를 포함해 스페인, 아르헨티나 등 주요국 정상들과도 개별 양자회담을 가진다"며 "현재 추가 회담 일정을 조율 중으로, 일부 회담은 G20 정상회의 폐회 이후에 열릴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아세안 및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한중일 정상회의는 열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번 다자외교 계기에 한일중 정상회의가 열리기엔 시간이 촉박하다"며 "고위관리회의와 외교장관회의를 거쳐 한일중 정상회의가 열리는 순서인 만큼 올해 안에 한일중 회의가 열릴 수 있도록 일본, 중국과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개최한 만큼 한미일 정상회담도 별도로 추진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한중 정상회담 가능성은 남아 있다.

이 관계자는 "관례적으로 G20에는 중국 주석이 참석해 왔으나 현재까지 이번 회의에 중국의 어떤 지도자가 어떤 행사에 나올지 통보해주지 않고 있다"며 "한중 정상회담 여지는 중국이 G20에 누구를 보내느냐에 따라 논의가 열릴 수도 있고, 그다음 다자회의 계기로 미뤄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순방은 양자나 국빈방문이 아니어서 공식 경제사절단은 없지만,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참석 차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회장, 신동빈 롯데회장, 구자은 LS회장 등 주요 기업 대표들은 참석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