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기초의원 4명 중 1명이 지난 1년 동안 단 한 건의 조례도 발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전국 최고의 불명예를 안았다.
21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에 따르면 민선 8기 출범 후 1년 동안(지난해 7월 1일~올 6월 30일) 기초의회 조례 미발의 의원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북으로, 총 281명 중 23.5%인 66명이 조례를 한 건도 발의하지 않았다. 이어 경남(16.7%)과 서울(14.1%) 순이었다. 대구는 7.1%(127명 중 9명)였다.
경주시의회는 전체 21명 중 52.4%인 11명이 지난 1년간 조례안 발의가 없어 전국 기초의회에서 3번째로 높았다. 이어 공동 4위 울릉군의회·영양군의회 42.9%(7명 중 3명), 9위 포항시의회 39.4%(33명 중 13명), 10위 의성군의회 38.5%(13명 중 5명) 등 경북도 내 기초의회들이 '불성실 입법활동' 상위권에 대거 포함됐다.
광역의회의 조례안 미발의 의원비율은 강원특별자치도(20.4%), 경상남도(20.3%), 경기도(14.2%) 순이었다. 대구는 3.1%(32명 중 1명), 경북은 1.6%(61명 중 1명)였다.
전국 기초·광역의원 전체 3천857명 가운데선 424명(11.0%)의 조례 발의 건수가 0건이었다. 특히 조례 미발의 의원의 겸직내역을 조사한 결과, 65명 중 37명(56.9%)이 겸직 중이며 15명은 보수를 받고 있어, 겸직 수행이 의정활동 수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은 아닌지 검토가 필요하다고 경실련은 밝혔다.
경실련은 "정당과 정치권에 줄 서 당선되고, 당선 후에는 자신을 선택한 지역민을 무서워하지 않고 공직을 이용해 사익을 채우고, 자치단체장의 거수기 역할에 그칠 경우, 지역사회에서 신뢰를 얻기는커녕 지방의회 무용론에 봉착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경실련은 매년 지방의원의 의정활동을 평가해 결과를 주민에게 알리고, 자질과 능력이 없는 후보의 지방의회 입성을 방지하는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