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경기도 김포시를 서울시로 편입하는 방안을 당론으로 추진하는 등 메가시티 구상에 드라이브를 걸자 지난 정부 때 추진됐던 대구경북(TK), 부산·울산·경남(PK) 메가시티론(論)이 재조명되고 있다.
서울 메가시티 논의에 집중되면 수도권 블랙홀 현상 심화로 국토균형발전에 힘을 쏟고 있는 윤석열 정부 구상과도 배치되는 만큼 TK, PK 등 지방 메가시티 구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일 지역 정치권 안팎에서는 여당의 메가시티론이 낯설지 않다는 반응이 나온다. 이철우 경북도지사, 권영진 전 대구시장의 민선 7기 시절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통한 'TK 메가시티'를 만들자는 논의를 이미 했었기 때문이다.
2020년부터 본격화된 당시 논의에서 메가시티가 프랑스, 일본 등 국가에서 이미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으며 국내적으로도 수도권 쏠림 현상에 대응하려면 인구 500만 명(대구+경북) 규모의 도시로서 수도권과 서로 경쟁할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들이 오갔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TK는 지난 7월 군위군을 대구시로 관할구역을 변경하는 등 지자체 편입 절차도 이미 겪어봤다"면서 "TK신공항 추진을 위한 약속이기도 했지만 TK는 하나의 메가시티로 간다는 인식이 깔렸던 것도 편입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했다.
TK 메가시티 논의가 활발해지자 PK 등 타 지역에서도 메가시티론이 일면서 국내 곳곳에서 광역행정통합에 대한 움직임이 본격화하기도 했다.
경북도는 최근에도 지방시대위원회에 제출한 지방시대 종합계획에 'TK 연대로 글로벌 창의 메가시티 조성'을 TK 초광역권발전 계획의 비전으로 제시하며 의지를 이어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앙 정치권에서 메가시티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지역 정치권이 TK, PK 등 전국적인 메가시티 논의로 관점이 확장되도록 역할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와 여당이 서울, 경기도 등 수도권을 대상으로 만 논의할 경우 자칫 총선 국면에서 수도권-지방 간 불균형 해소, 수도권 블랙홀 현상 극복 등 국가균형발전 어젠다가 후순위로 밀릴 수 있어서다.
이날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을 발표했지만 집권 여당의 '메가 서울' 구상 앞에 빛이 바랬다는 평가도 나온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지방 시도를 통합해 메가시티로 만든다는 것은 지방화 시대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바람직할지 모른다"며 "(하지만) 이미 메가시티가 된 서울을 더 비대화하고 수도권 집중 심화만 초래하는 서울 확대 정책이 맞느냐"고 꼬집었다.
정치권 관계자는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 수도권 민심에 호소해야 하는 여당 사정은 이해하지만 소멸해 가는 지역 사정도 함께 살펴야 한다"면서 "메가시티 구상은 서울에 국한할 게 아니라 전 국토의 관점에서 다뤄질 필요가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