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방어의 최전선에 있었던 전국의 지방의료원들이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선언 뒤 위기에 빠졌다면서 재정 지원과 의사 인력 확충을 정부에 강력 건의했다.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는 지난 10일 35개 지방의료원장 공동명의의 호소문을 전날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에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전국의 지방의료원들이 코로나19를 거치며 의사도, 환자도 사라져 위기에 빠졌다면서 재정 지원과 함께 의사 인력 확충을 강력히 추진해야 한다고 정부에 건의했다.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연합회)는 10일 35개 지방의료원장 공동명의의 호소문을 전날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에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연합회는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이 선언됐지만,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헌신한 지방의료원들은 존폐를 고민해야 하는 참담한 현실을 맞았다"며 "코로나19 대응 기간에 일반 진료를 거의 하지 못해 떠나간 단골 환자들은 돌아오지 않고, 의사를 포함한 많은 의료인력이 이탈했다"고 말했다.
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이들 지방의료원의 병상 이용률은 평균 49.5%다. 코로나19 이전(80.9%)보다 30%포인트 넘게 줄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대구경북지역만 해도 2019년 당시 병상가동률은 대구의료원 80%, 경북 안동의료원 82%, 김천의료원 93%, 포항의료원 81%이었으나 올해 6월에는 대구의료원 50.1%, 경북안동의료원 34.38%, 김천의료원 69.03%, 포항의료원 38.99%로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포항의료원의 한 관계자는 "코로나19 엔데믹 선언 이후 감염병 전담병원 해제 이후 병상가동률이 반토막 나는 등 큰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정부에서는 해제 이후 6개월 간의 지원만 해 준 상태"라며 "병원의 정상운영이 원래대로 돌아가기 위해선 적어도 3년은 걸린다는 게 내부적 진단인데 지금의 정부 지원은 부족한 감이 크다"고 말했다.
연합회 측은 "내년도 예산에 지방의료원 경영 정상화를 위한 재정 지원 방안과 의사 인력 확충 방안 마련을 강력히 추진해달라"고 촉구했다. 또 부족한 의사 인력 문제 해결을 위해 공공임상교수제의 법제화와 전공의 공동수련제도의 병행 추진을 통해 전문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국회와 정부가 움직여주기를 촉구했다.
이에 대해 박민수 2차관은 "정부는 의사 인력 확충을 포함 의료체계 전반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며 "대한의사협회(의협)와는 의료현안협의체에서 협의하고 있지만, 그와 별개로 여러 병원장, 협회장을 비롯해 환자·소비자단체까지 다양하게 의견을 듣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