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의사의 소득이 전체 노동자들의 평균 임금보다 최대 7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의사와 전체 노동자 간 격차는 가장 큰 수준이다.
12일 OECD가 최근 공개한 '한눈에 보는 보건의료 2023'(Health at a Glance 2023)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 의사의 연평균 총소득은 고용 형태와 일반의, 전문의 등의 기준에 따라 전체 노동자보다 2.1∼6.8배 많았다.
대표적인 고소득 전문직인 의사는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OECD 다른 나라에서도 높은 수준의 소득을 올렸지만 한국의 경우엔 특히 격차가 컸다.
고용 형태 등으로 보면 개원의가 봉직의보다, 전문의가 일반의보다 임금이 더 많았다. 개원 전문의의 경우 전체 노동자 평균 임금보다 6.8배 더 많이 받아 격차가 OECD 국가 중 가장 컸다.
이 외에 봉직 전문의는 4.4배, 개원 일반의는 3.0배, 봉직 일반의는 2.1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1∼2021년 한국 의사의 연간 실질 보수 평균 증가율은 일반의 2.6%, 전문의 2.8%였다. OECD 23개국 평균 증가율은 일반의와 전문의 모두 1.8% 수준이었다.
반면 의사 수는 OECD 평균에 못 미쳤다. 모든 OECD 국가에서 의사 수가 인구보다 더 빠르게 늘어나면서 1천명당 평균 의사 수는 같은 기간 3.2명에서 3.7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한국은 의사 수가 2.0명에서 2.6명으로 늘었지만 여전히 OECD 평균(3.7명)에 못 미쳤다.
또 한국의 여성 의사 비중은 전체의 25%로 일본(23%)에 이어 뒤에서 두 번째였다. 55세 이상 의사는 전체의 26%로 OECD 평균(33%)보다 적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