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제2국가산단 구역 조정…조성원가 낮추고 제조용지 늘린다

조성원가 인하 위해 사업구역 일부 제외, 개발제한구역 농지 추가 확보
생산시설 부지 35만㎡ 증가
미래모빌리티·로봇 제조 등 신산업 기업 유치

23일 오전 대구시청 동인청사 기자실. 안중곤 대구시 경제국장이 제2국가산업단지 관련 기자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정우태기자
23일 오전 대구시청 동인청사 기자실. 안중곤 대구시 경제국장이 제2국가산업단지 관련 기자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정우태기자

대구 미래 신산업의 거점이 될 '대구 제2국가산업단지(대구 미래 스마트기술 국가산업단지)' 조성 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사업구역 조정을 통해 조성원가를 낮추고 제조용지를 추가 확보해 사업성과 속도를 동시에 높였다.

대구시는 329만4천㎡(약 100만 평)로 계획했던 대구 제2국가산업단지 사업구역을 304만2㎡(약 92만 평)로 조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지가 상승 등으로 보상비 부담이 큰 지역과 이주 문제가 우려되는 주택·근린생활시설을 제외하는 대신 보상비가 저렴한 개발제한구역 농지를 추가한 것이다. 전체 사업구역 규모는 줄었으나, 생산시설이 들어설 제조용지는 35만㎡(약 10만 평) 이상 늘었다.

대구시가 추가 편입한 부지는 사업대상지 서쪽에 위치한 옥포읍 본리리 농지 92만2천㎡(약 28만 평)다. 앞서 시는 우수 역외기업 유치를 위해 제조용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농지개발 주무 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와 협의 끝에 이달 초 해당 농지를 개발하는 방안에 대한 동의를 이끌어 내는 데 성공했다.

이번 사업구역 조정을 통해 산업단지 조성원가는 평당 약 160만 원 인하될 것으로 추산된다. 사업성이 강화된 만큼 신속한 사업추진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사업시행예정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다음 달 초 타당성 조사 용역에 착수하고, 내년 2월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의뢰해 상반기 중 완료하겠다는 계획이다. 오는 2025년 '현 정부 1호 국가산업단지' 지정을 목표로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산업단지 조성은 대구시 5대 신산업 육성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꼽힌다. 지난 2009년부터 시작된 대구 국가 산단 1단계 전체 분양률은 89%를 달성했고, 일반제조시설 분양률은 99%에 육박한다. 산업 전환기를 맞아 급증한 산업용지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산업단지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대구 제2국가산업단지는 우수한 입지 여건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중부내륙고속도로 화원옥포IC가 부지 내 자리 잡고 있으며 대구외곽순환도로와 도시철도 1호선이 인접해 있다. 또 대구산업선 건설이 추진되고 있어 교통·물류 인프라가 풍부하다.

대구시는 미래모빌리티·로봇 제조업, 빅데이터·인공지능(AI)를 포함한 지식서비스업 등 신산업 기업을 대거 유치할 계획이다. 이미 미래모빌리티, 2차전지 등 유망 기업 10곳 이상이 입주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번 사업구역 조정으로 사업성이 높아지고 사업 전체의 속도도 빨라지게 된 만큼 대구 미래 50년을 위한 산업거점의 토대가 더욱 단단해졌다. 제2국가산단의 경쟁력이 더욱 높아진 만큼 우수한 역외기업, 대기업들을 유치하는 데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대구 제2국가산업단지 위치도. 대구시 제공
대구 제2국가산업단지 위치도. 대구시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