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정원 "北 정찰위성 3차 발사 성공…러시아 도움 있었을 것"

국정원 " 7차 핵실험 징후는 포착 안 돼"

김규현 국가정보원장이 2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회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김규현 국가정보원장이 2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회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이 23일 북한의 정찰위성 3차 발사가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것으로 파악한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보고했다고 정보위 국민의힘 간사인 유상범 의원, 더불어민주당 간사 윤건영 의원이 전했다.

국정원은 국회 정보위원회에 "북한 발사체 성공에는 러시아의 도움이 있었을 것으로 본다"고 보고했다.

그러면서 "북러 회담 당시 푸틴이 북한의 발사체 자체를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혔다"며 "회담 후에는 북한이 설계도 및 1·2차 발사체와 관련한 데이터를 러시아에 제공하고 러시아가 그 분석 결과를 (북한에) 제공한 정황이 확인됐다"고 부연했다.

다만 '러시아의 도움을 받은 정황 이외에 구체적으로 확인된 것이 있느냐'는 질문에 국정원은 "구체적으로 확인된 것은 없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국정원은 지난 2차 정찰위성 발사 실패 때 수거한 잔해물을 분석한 결과, 당시 탑재된 위성은 정찰위성으로서 가치 있는 '서브미터'급이 되지 않는 위성인 것으로 파악했다.

국정원은 "새로운 인공위성의 발전 속도가 통상 3년 정도 걸리는 점을 감안할 때 현재 북한이 괌 사진을 촬영했다는 영상을 공개하지 않는 한 인공위성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상황은 되지 못한다"고 보고했다.

이어 북한의 고체연료 발사 기술과 관련해서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경우에는 개발 초기 단계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국정원은 임박한 시일 내 북한의 7차 핵실험 징후는 포착되고 있지 않다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풍계리에서도 발사 징후는 현재까지 포착되지 않는다"며 "다만 핵실험은 북한의 최고 지도자 결심에 의한 사안으로 보면 된다"고 밝혔다.

이어 "2023년에는 핵실험 가능성을 높게 보진 않지만, 2024년이 되면 김정은 결심에 따라 언제든지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있다"며 "정찰위성은 올해 안에 추가 발사는 어려운 것으로 보이지만 내년 발사는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고 보고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