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소기업 10곳 중 3곳 "올해 자금사정 지난해보다 더 악화"

중기중앙회, 중기 300개사 대상 '금융이용 및 애로 실태조사' 실시

중소기업중앙회. 연합뉴스
중소기업중앙회. 연합뉴스

중소기업 10곳 중 3곳은 지난해보다 올해 자금사정이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고물가 여파가 중소기업계를 그대로 덮친 탓이다.

중소기업중앙회가 21일 발표한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 中企 금융이용 및 애로 실태조사'에서 올해 자금사정을 묻는 질문에 지난해와 '비슷하다'는 응답이 56.3%로 가장 많았으나, '악화됐다'는 응답도 31.7%에 달했다. '호전됐다'는 응답은 12%에 불과했다.

매출액 30억원 미만 기업의 43.7%가 자금 사정이 '악화됐다'고 답했으나, 같은 질문에 매출액 100억원 이상 기업은 19.3%만 '악화됐다'고 답해 규모가 작을수록 자금사정이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으로는 '판매부진(47.4%)'이라고 응답(복수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인건비상승(38.9%), 원부자재 가격 상승(29.5%) 순으로 나타났다.

은행을 통한 자금조달시 애로사항으로 '높은 대출금리(58.6%)'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은행 대출과 관련한 요구사항은 '대출금리 인하(75.0%)'가 가장 많았으며, 중소기업에 가장 절실한 금융지원 과제로 '금리부담 완화 정책 확대(50.7%)'를 가장 많이 손 꼽으며 고금리로 인한 중소기업의 어려운 현실과 고금리 문제 해결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유 대출 건수에 대한 질문에 '4건 이상 보유(42.3%)'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나 중소기업의 다중채무 문제도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줬다.

금융권의 상생금융에 대한 인지 및 이용경험 조사에서는 '잘모르겠음(83%)', '알고있으나, 이용 못 함(13%)', '알고있고, 이용함(3%)' 순으로 응답해, 올해 6월 같은 문항에 대한 응답과 비슷한 결과로 나타나, 여전히 금융권의 상생금융 대책에 대한 현장 체감이 미흡한 것으로 해석된다.

은행의 상생금융 지원과제(복수응답)로는 '신용대출 확대(47.3%)' '장기거래 우대금리 적용(41.7%)' 등으로 응답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올해 자금사정이 지난해보다 나아졌다는 중소기업이 1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중소기업의 자금사정 개선을 위해 금리부담 완화 등 다양한 정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많은 중소기업들이 은행권의 상생금융 대책에 대해 알지 못하거나 이용하지 못 하고 있다. 상생금융에 대한 충분한 안내와 더불어 신용대출 확대, 장기거래 우대금리 적용 등 보다 실효성있고 지속가능한 상생금융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