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그립습니다] "엄마와 50년 한솥밥…내 이름 아시죠? 가시다가 외로울 때 불러주세요"

연출가 김재만 씨의 어머니 고(故) 황동원 씨 

연출가 김재만 씨가 대학 졸업식 때 어머니 고(故) 황동원(오른쪽) 씨와 함께 찍은 사진. 김재만 씨 제공
연출가 김재만 씨가 대학 졸업식 때 어머니 고(故) 황동원(오른쪽) 씨와 함께 찍은 사진. 김재만 씨 제공

"내 이름 아시죠? 한 글자 한 글자 지어주신 이름. 내 이름 아시죠? 가시다가 외로울 때 불러주세요." 트로트 가수 장민호가 부른 '내 이름 아시죠?'라는 곡의 노래 가사이다. 트로트라는 장르를 그렇게 즐겨 듣지 않지만, 유난히 이 노래만은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간절함으로 매번 통곡하게 만든다.

어머니는 작년 봄에 86세 나이로 돌아가셨다. 오랜 기간 당뇨로 간병을 필요로 하신 까닭에, 주변 사람들은 "할 만큼 다 한 거야. 고생했어!"라고 위로를 해준다. 하지만, 아직도 대문을 열고 집 안에 들어서면 "다녀 왔냐?" 하시며 방 안에서 환하게 웃으시는 얼굴로 마중 나오실 것만 같다.

유별나다고 할지 몰라도 우린 50년을 한집에서 살았다. 어릴 때는 어머니가 책임 지었고, 나이가 드신 후에는 내가 책임지고 모셨다. 특히 어머니의 사랑이 얼마나 컸는지, 중학교 다닐 땐 따뜻한 밥을 먹이겠다고 학교 담에 붙어 있는 집으로 이사를 했고 고등학교 시절에는 야간자습까지 배고프지 않게 커다란 3단 찬합 도시락을 챙겨주셨다.

군대 시절에는 보충역 근무로 집에서 출퇴근했다. 하루는 연극을 같이 하던 극단 동료들과 공연 뒤풀이를 한 뒤에, 다음 날 부대로 바로 출근을 해버렸더니 그새를 참지 못하고 면회를 오셨다.

연출가 김재만 씨가 어머니 고(故) 황동원(왼쪽) 씨 생신 때 재롱떠는 모습. 김재만 씨 제공
연출가 김재만 씨가 어머니 고(故) 황동원(왼쪽) 씨 생신 때 재롱떠는 모습. 김재만 씨 제공

내 나이 마흔 넘어 방송이랑 몇 개의 CF를 찍기도 했다. "이럴 줄 알았으면 옛날에 연극하는 것을 말리지 않고 그냥 뒀어야 했는데…미안해!" 하시며 눈물 훔치시던 기억도 생생하게 남아있다.

'황동원'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음에도 자식이 출생한 이후에는 '만이 엄마'로 평생을 불리다가 떠나가신 어머니! 당신이 너무도 오랜 시간 당뇨를 앓고 하루 세 시간 이상 병원에서 신장 투석을 받아야 했을 때 가까운 사람들조차 요양병원에 모시라고 권유했지만, 당신이 어떤 어머니였는지 알기에 떨어질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코로나19라는 재앙이 덮쳐 119를 불러서 입원하는 일이 생기게 됐다. 퇴원 후에는 일어나는 것도, 걷는 것도 제대로 할 수 없게 됐다. 결국 투석 때문에 어머니를 요양병원에 모실 수밖에 없었다.

평생을 함께 살았던 죄책감 때문에, 끝까지 모시고 싶었던 마음 때문에, 한 달간 면회를 가지 않았다. 미루고 미루다가 용기를 내 면회를 갔다. 하지만 병실에 들어서는 순간 쏟아지려는 눈물을 참기 위해 아랫입술을 깨물어야만 했다.

어머니는 머리가 서툰 가위질로 단발이 된 채 말없이 쳐다만 보고 계신 것이다. "움직이시기 어려워서 세면이나 치료를 받으시기에는 짧은 머리가 좋아서 정리해 드렸어요." 간호사가 미소를 잔뜩 머금은 채 설명해준다. 나는 그날 만나는 모든 사람들에게 짜증과 화만 내고 말았다.

일주일 후였다. 새벽인데도 휴대폰이 요란하게 울렸고 어머니에게 일이 생겼음을 직감했다. "김재만 씨 되시죠? 어머님이 돌아가실 것 같아요. 바로 와주세요." 그렇게 평생을 자식들만 챙기시던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것이다.

'어두운 그 길을 어찌 홀로 가나요. 새들도 나무들도 슬피 우는 밤. 조심 조심 가세요. 넘어지면 안돼요. 달님이 그 먼길을 지킬겁니다. 내 이름 아시죠? 한 글자 한 글자 지어주신 이름. 내 이름 아시죠? 가시다가 외로울 때 불러주세요.' 방 안 가득 울려 퍼지는 노래 소리에 자꾸만 울음을 삼키게 된다.

----------------------------------------------------------------------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슬픔을 매일신문이 함께 나눕니다. '그립습니다'에 유명을 달리하신 가족, 친구, 직장 동료, 그 밖의 친한 사람들과 있었던 추억들과 그리움, 슬픔을 함께 나누실 분들은 아래를 참고해 전하시면 됩니다.

▷분량 : 200자 원고지 8매, 고인과의 추억이 담긴 사진 1~2장

▷문의 전화: 053-251-1580

▷사연 신청 방법
1. http://a.imaeil.com/ev3/Thememory/longletter.html 혹은 매일신문 홈페이지 '매일신문 추모관' 배너 클릭 후 '추모관 신청서' 링크 클릭

2. 이메일 missyou@imaeil.com

3. 카카오톡 플러스채널 '매일신문 그립습니다' 검색 후 사연 올림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