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의사 10명 중 8명이 '이미 의사가 충분하다'는 이유로 의대 정원 증원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의대 입시에서 지역인재전형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지역 의사 중 60% 이상이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은 5일 지난해 11월 10~17일 진행한 '의과대학 정원 및 관련 현안에 대한 의사 인식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의협회원 4천10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중 81.7%(3천277명)는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에 반대했다. 조사에 참가한 대구경북 의사 429명 중에서도 78.8%(338명)이 같은 의견을 냈다.
의대 정원 확대를 반대하는 이유로는 절반(49.9%)이 '이미 의사 수가 충분하다'라고 답했다. 이어 '향후 인구가 감소하면서 의사 수요 역시 줄어들 것이기 때문'(16.3%), '의료비용 증가 우려'(15.0%), '의료서비스 질 저하 우려'(14.4%), '과다한 경쟁 우려'(4.4%) 등의 순이었다.
정원 확대에 찬성하는 응답자 중 49.0%는 '필수의료 분야의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외에 '지역 간 의료격차 해소'(24.4%), '의사가 부족해 환자가 진료받지 못해서'(7.9%) 등이 꼽혔다.
지역의료 인력 확충 방안으로 거론되는 의대 입시의 지역인재전형 확대 방침에는 대구경북 의사 중 63.4%가 찬성 의견을 보였다. 전국적으로는 찬성(48.5%)과 반대(51.5%)가 엇갈렸다.
장학금 등을 지급하고 일정 기간 의무 근무케 하는 일명 '지역의사제' 도입에 대해서는 62.2%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의사들은 필수의료 분야 기피 현상의 원인으로 '낮은 수가'(45.4%)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보호 부재'(36.0%), '과도한 업무 부담'(7.9%) 등이 지목됐다.
소아과 '오픈런' 상황을 해결하려면 '소아청소년과 운영을 지원해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이 47.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소비자들의 의료 이용행태 개선 캠페인'(14.0%), '조조·야간·휴일 진료 확대 지원'(8.1%) 등이 뒤를 이었다.
우봉식 의협 의료정책연구원장은 "단순한 수요 조사가 아닌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근거에 따라 적정 의사인력을 산정하고, 미래 의료수요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해 과학적 수급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