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성서자원회수시설 주민지원협의체 "성서소각장 2·3호기 연장 절대 수용 불가"

대구시 "내구연한 도래해도 사용 가능…지난달 시설 교체 관련 용역 시작"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성서사업소. 매일신문 DB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성서사업소. 매일신문 DB

내구연한이 지난 성서자원회수시설(매일신문 1월 16일)의 연장 사용에 대해 이곳 주민지원협의체(이하 협의체)가 반대 입장을 대구시에 밝혔다.

협의체는 21일 대구시에 제출한 입장문에서 "지난해 이미 연장 사용 반대 입장을 명확히 표명했음에도 시는 아무런 응답 없이 2·3호기 연장 사용을 기정사실화하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협의체에 따르면 성서소각장 2·3호기는 1998년 준공 이후 설계수명(15년)을 11년이나 초과한 채 26년째 운영되고 있는 노후시설이다.

이들은 "대구시가 1천162억원의 예산을 들여 2029년까지 주요 시설 및 설비를 전면 교체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는 단순 연장이 아닌 사실상 신규 건립에 준하는 변경"이라며 "성서지역 주민들은 성서산업단지, 지역난방공사 등 환경시설의 과밀 입지로 인한 부담을 오랜 기간 감내해왔다"며 "한 지역에 소각장, 매립장, 산업단지, 열공급시설이 중첩된 사례는 전국적으로 드물다. 이는 명백히 환경정의와 지역 형평성을 저해하는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협의체는 대구시에 ▷성서소각장 2·3호기 연장 결정의 즉각 철회 ▷환경시설 분산 배치를 위한 로드맵 마련 ▷성서지역 환경개선 및 주민지원사업 활성화를 위한 재원 제도화 등을 강력히 촉구했다.

소각시설 내구연한은 통상 15년으로, 내구연한이 지났다고 해서 반드시 폐쇄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대구시는 지난달 성서 자원회수시설 2·3호기 대보수 사업 타당성 및 기본계획 용역을 시작해 대보수 필요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대구시는 협의체의 요구는 현재로서 수용하기 어려우며, 소각장 설비는 노후화로 인해 새 설비로 교체를 추진하고 있어 지역 주민들에게도 오히려 이로울 수 있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자원순환과 관계자는 "기계가 노후화하면 새 설비로 바꾸는 것이 사고 위험을 줄이고 성능도 향상 시킬 수 있다"며 "주민들이 요구하는 바처럼 소각장 2·3호기를 아예 철회하라는 요구는 대체 부지 마련 등 문제로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